남북 양측은 지난 22일 5차 실무회담에서 국제화 문제 등 일부 항목에서 견해차를 좁혔지만 가장 근본적인 문제인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보장 방안을 둘러싸고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함에 따라 6차 회담에서도 이 문제를 놓고 공방이 예상된다.
통일부 당국자는 지난 23일 기자들과 만나 우리 정부의 차분하고 일관된 입장을 설명하면서 “중요한 것은 북한이 더 성의있는 자세를 갖고 호응해 나오는 것이 핵심 요소”라고 밝혔다.
그동안 정부는 북측의 사태의 책임 인정과 구체적인 재발방지책을 합의문에 확실히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고 북측은 이에 난색을 보이며 맞서온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이 6차 회담에서도 절충점을 찾지 못하면 당면한 한반도 정세와 각종 변수 등을 감안할 때 6차 회담이 사실상 마지막 회담이 되거나 몇 차례 더 성과없는 회담이 공전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양측 대표단은 5차 회담 때와 변동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 측에서는 김기웅 통일부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을 수석대표로 홍진석·허진봉 통일부 과장이, 북측에서는 박철수 중앙특구개발총국 부총국장을 수석대표로 황충성 민족경제협력위원회(민경협) 참사와 원용희 등 3명이 대표로 나설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6차 회담이 마지막 회담이 될 수도 있지 않겠느냐는 관측과 관련해 “회담이 아직 계속 진행 중이기 때문에 상황을 계속 지켜봐야 한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