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오울루는 헬싱키 북방의 첨단과학도시로 오울루대, 노키아 이동전화연구소 등 대학ㆍ연구소ㆍ기업이 모여 핀란드 국내총생산(GDP)의 4%, 연구개발(R&D) 투자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이곳에서 우리의 테크노파크와 같은 테크노폴리스라는 기관이 산학연 간 네트워킹을 지원한다. 오울루대 졸업생의 80%가 과학단지에서 일할 정도로 산학연 협력이 지역에 가져오는 이익이 크다.
글로컬(Glocal) 시대를 맞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지역산업과 지역 중견기업 육성으로 국가 경제를 견인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규모의 경제가 가능한 '광역화'와 선택과 집중을 위한 '특성화'로 그 지역만의 특성과 장점을 발굴함으로써 동맥경화에 걸린 국가 성장의 잠재력을 회복하자는 것.
우리는 지난 2009년부터 정부가 추진해온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을 통해 그린선박조선기자재(동남권), 전자의료기기(강원권), 친환경 차량ㆍ부품(호남권) 등 광역단위 산업클러스터 육성작업이 본격화됐다. 휴대폰용 신개념 햅틱 액추에이터(Haptic actuator) 및 모듈 개발을 한 이엘케이(충청권)나 제세동기(심장충격기ㆍAED) 전문업체 씨유메디칼시스템(강원권)과 같이 지역 스타 기업도 탄생했다.
나아가 올해부터는 광역선도산업 2단계 사업이 시작돼 스마트모바일(대경권), 제주형 풍력서비스(제주권) 등 40개 프로젝트를 집중 지원, 광역 규모의 산업생태계를 조성하고 인재 양성에 나서 지역발전 선순환구조를 마련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개별기업 단독 R&D보다 지역 기업-대학-기술지원기관 간의 산학연 공동 R&D와 대ㆍ중기 동반성장형 R&D를 우선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시도별 지역전략산업을 키우고 지역 일자리 창출효과를 높이기 위해 내년부터 지역전략사업을 신특화산업으로 명칭을 바꿔 약 3,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는 너나 할 것 없이 어려운 상태에 처한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상황을 고려해 R&D 예산을 정부가 직접 지역 기업에 공급하기 위한 조치다.
최재홍 경북대 섬유공학과 교수는 22일 "R&D와 생산지원 인프라 구축 시스템이 마련돼 기업들의 기술력과 마케팅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다"면서도 "시도 경계를 넘어선 연계협력에 대해서는 현장에서 느끼는 정도가 아직 미흡하다"고 말했다.
물론 지역산업이 이제 막 걸음마를 뗀 수준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특허나 R&D 지표를 뽑아보면 아직 수도권 중심이다. 지역에 대한 인력 공급 필요성도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각 지방에 인재 수혈을 위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논의도 필요하다. 인력난이 해소되지 못하면 기술과 마케팅 역량도 향상시키는 데 한계가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김병삼 호서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유럽 등 선진국을 보면 R&D가 지역에서 활성화됐는데 우리는 서울과 경기도 등 수도권에서만 이뤄진다"며 "연구원들이 지방에 내려가서 연구활동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변종립 지식경제부 지역산업정책관은 "지역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함으로써 지역과 세계가 직접 만나는 '글로컬' 시대를 여는 초석을 다지게 됐다"며 "주요 권역 지역내총생산(GRDP)을 미국 캘리포니아주나 일본의 오사카 등과 같이 다른 국가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육성해 국가 성장을 견인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