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남기 위해 자산관리공사(캠코)에 부실채권을 팔기에 급급하던 저축은행들이 연초 들어 부실 사업장들에 다시 관심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일부 사업장에서는 민간사업자들과 본계약 체결이 임박했다. 지난해 저축은행의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촉발했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시장에 변화의 움직임이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31일 금융계에 따르면 저축은행들이 떠안고 있던 부실 PF사업장 중에서도 악성으로 분류됐던 사업장에 민간사업자들이 몰리자 저축은행들이 캠코에 매각한 부실 PF채권에 다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시중 저축은행의 한 관계자는 "올해 행정수도 이전 등으로 지방을 중심으로 주택 수요가 일부 살아나면서 기존에 부실화됐던 PF채권의 사업성을 재검토 하고 있다"며 "캠코가 인수한 부실 PF채권 중에서도 사업성이 양호한 것들은 재매입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존에 저축은행들이 보유하고 있는 부실 PF채권 중에서도 정상화되는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수도권에 위치한 A저축은행의 경우 지난해 캠코로부터 재매입한 1,000억여원 규모의 PF채권 중 대부분을 유동화에 성공했다. 지난해 말에는 부실채권으로 분류했던 55억원 규모의 지방 PF사업장이 대출금을 납입하며 정상화됐다.
PF대출 회수에도 탄력이 붙고 있다. A저축은행의 지난해 6월 말 기준 PF대출 잔액은 4,000억원을 넘어섰지만 지난해 12월 말에는 3,200억원선으로 줄어들었다. 6개월 동안 20%가량의 대출을 회수한 셈이다.
A저축은행 관계자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부실 PF채권은 캠코에 매각하기 바빴지만 기존에 부실 PF채권을 다시 들여다보며 사업성이 있는 곳들을 추려내고 있다"고 말했다.
캠코가 정상화를 추진 중인 PF사업장 중 일부는 본계약 체결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캠코의 1차 입찰대상이었던 31개 사업장 중 10개 사업장의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했지만 기존 시행사에 대한 보상 처리와 미확보 토지매입,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 출자비율 배분 등의 이슈가 불거지면서 본계약 체결이 지연돼 애를 먹기도 했다.
캠코의 한 관계자는 "10개 사업장 중 한 곳의 경우 시행사 및 시공사, 채권단들이 어느 정도 의견 일치를 보며 본계약 체결이 임박했다"고 귀띔했다.
또 캠코는 1차 입찰대상이었던 31개 사업장 중 19개 사업장에 대해 이르면 2월 중 추가 입찰을 실시해 부실 사업장 정상화에 나설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