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부도위기 쌍용건설 운명과 채권단 선택은…

6일 어음 만기… 막판 타결 가능성<br>Q 법정관리 되면… 1400여 협력업체 연쇄부도<br>Q 유동성 위기 왜 왔나… PF부실에 잇따라 매각 실패<br>Q 기사회생 가능성은… 큰 틀 의견 일치 지원책 윤곽


국내 시공능력평가 13위인 쌍용건설이 법정관리 위기에 몰렸다. 지난달 31일 채무 600억원의 만기가 돌아오며 한 차례 부도위기에 처했던 쌍용건설이 6일 또다시 500억원대 규모의 어음 만기를 앞두고 유동성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쌍용건설 회생을 위해 쌍용건설 최대 주주인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주채권은행들이 2,000억원 규모의 협조융자 지원을 결정한 상태. 하지만 출연 규모를 놓고 첨예하게 이견을 보이고 있어 쌍용건설의 앞날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전세계 20여개국에서 85억달러를 수주하며 해외건설명가로서의 입지를 다져온 쌍용건설이 법정관리와 기사회생의 기로에 서있는 셈이다. 이를 제외하고도 올해 만기를 앞둔 회사채와 기업어음(CP) 금액만 1,000억원을 넘어 자금 압박을 받아왔다. 당장 오는 11월 부실채권정리기금 운용시한을 앞두고 있어 쌍용건설의 앞날에 대한 업계의 우려가 크다.

다섯 차례 걸친 인수합병(M&A) 실패와 유동성 위기로 설립 이후 35년 만에 최대 위기를 맞고 있는 쌍용건설의 현 상황과 향후 전망을 진단해본다.

◇발등의 불이 된 유동성 위기=당장 쌍용건설은 6일 만기가 돌아오는 520억원의 규모의 B2B전자어음(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을 상환해야 한다. 이에 앞서 지난달 31일 만기가 돌아온 600억원의 채무 가운데 상거래 어음 82억원을 자체 자금으로 상환하며 가까스로 부도 위기를 넘긴 바 있다.

이에 캠코를 비롯해 산업·우리은행 등 5개 채권단이 2,000억원 규모의 긴급유동성 지원에 의견을 모은바 있다. 하지만 출연 규모를 놓고 채권 은행들이 이견을 보이고 있어 타결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번에 만기가 돌아오는 어음을 해결한다고 해도 쌍용건설은 올해 말까지 회사채와 CP 등 1,000억원 규모의 채무 만기 도래가 기다리고 있어 숨을 돌릴 여유도 없다.

◇채권단 지원 가능성은=지난주만 쌍용건설 유동성 지원을 위해 캠코가 쌍용건설의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매입 등을 통해 700억을 지원하고 채권단이 1,300억원을 지원하는 선에서 최종 합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산업은행을 비롯한 채권단이 태도를 바꿔 지원 규모 등을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어 협상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4일 "캠코는 지원하겠다고 했지만 채권단이 서로 눈치를 보고 있어 1~2주 더 협의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들린다"면서도 "6일 만기 직전에 극적으로 타결돼 지원이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쌍용건설의 운명은 6일까지 채권단의 지원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쌍용건설이 이날까지 자금 지원을 받게 되면 유동성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다. 반대라면 디폴트(채무불이행)나 법정관리로 이어질 수 있다.

◇쌍용건설 법정관리시 업계 파장은=쌍용건설이 디폴트나 법정관리로 가면 협력업체 1,400여곳까지 연쇄 부도로 이어질 가능성 높다. 쌍용건설은 최근 해외건설 시장에서 제2의 호황을 맞고 있어 해외건설 시장의 경쟁력 약화와 국가 신인도도 추락할 수 있다. 쌍용건설은 최근 3년간 해외에서 순수하게 벌어들인 외화만 3,000억원에 이른다. 현재 수주를 앞두고 있는 프로젝트만 96억달러어치다. 쌍용건설 관계자는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현재 공사중인 국내외 건설 현장 130여곳의 가동이 중단되고 수주협상도 전면 중단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쌍용건설 유동성 위기 초래한 원인은=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및 국내 부동산 경기 침체 이후 쌍용건설 역시 국내에서 대형PF 보증사업 및 아파트 할인분양에 의해 대규모 사업손실이 발생했다.

이 와중에 2002년 쌍용건설이 워크아웃 수순을 밟으며 쌍용건설의 최대 지분(38.75%)을 보유하고 있던 캠코는 쌍용건설의 매각을 추진했다. 당초 2008년 동국제강이 4,000억원 규모의 인수 가격을 제시하며 쌍용건설 인수를 시도하다 계약이 무산된 이래 최근 이랜드의 인수 포기까지 5년여에 걸쳐 총 다섯 차례나 M&A가 무산된 전력이 있다.

결국 다섯 차례 걸친 잇단 매각실패로 쌍용건설의 자본확충이 지연됐다. 유동성 확보를 위해 실시했던 미분양 등 자산 할인 매각은 대규모 사업손실로 부메랑이 돼 결과적으로 유동성 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져들게 된 셈이다.

◇쌍용건설, 기사회생 가능성은=업계 안팎에서는 쌍용건설이 법정관리까지 가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시공능력평가 13위의 대형 업체인 쌍용건설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건설업계는 패닉 상태에 빠질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채권단도 지원 방식을 놓고 세부적인 이견이 있을 뿐 큰 틀에서는 지원할 것이라는 관측이 높다.

업계 관계자는 "쌍용건설은 비(非)재벌 계열사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며 "정부 역시 쌍용건설 지원을 압박하고 있는 만큼 채권 만기일은 6일을 전후에 채권단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