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1인가구 부쩍 늘고 식생활 서구화… '밥=주식' 공식 깨져

■ 러브미 투게더 <1> 쌀 외면하는 대한민국

"챙겨먹을 여유 없다" 젊은층 집밥 대신 외식<br>조리시간 긴 한식 보다 간편식 선호도 한몫

바쁜 일상과 1인 가구 증가 등의 여파로 집밥을 외면하는 식문화가 퍼지고 있다. 맥도날드 노량진점에서 남성 고객들이 출근 전 ''맥모닝''으로 아침 식사를 해결하고 있다. /사진제공=맥도날드


# 서울 대치동에서 홀로 자취하는 20대 직장인 최희진(가명)씨는 '빵' 마니아다. 바쁜 출근 시간에는 빵 한 조각으로 끼니를 때우기가 일쑤고 저녁도 간단히 샌드위치 등으로 해결할 때가 다반사다. 최씨는 "쌀밥을 먹을 때는 동료들과 밖에서 가정식 백반을 사 먹는 점심 식사가 유일하다"며 "준비시간도 부족하고 같이 먹을 사람도 없다 보니 자의 반 타의 반으로 빵 애호가가 됐다"고 말했다.

# 올해 '몸짱 만들기'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김태진(33·가명)씨는 쌀밥을 멀리한다. 다이어트를 위해 아침과 점심은 닭가슴살·샐러드 등을 넣은 단백질 도시락으로 해결한다. 저녁 메뉴도 고구마·감자·옥수수 등이 전부다. 김씨는 "쌀밥은 다이어트의 적이라는 트레이너의 조언에 따라 몇 달간 식이요법에 전념 중"이라며 "주위 친구들만 봐도 건강을 챙긴다는 이유로 쌀밥보다는 퀴노아나 렌즈콩·귀리 등을 섞은 곡물밥을 주로 먹는다"고 설명했다.

해마다 쌀 소비가 급격히 줄면서 '밥=주식'이라는 오랜 식문화가 뿌리째 흔들리고 있다. 지난해 1인당 1일 쌀 소비량은 178.2g으로 밥 한 공기가 120~130g이라는 점에서 하루 한 끼만 밥으로 해결하고 있는 실정이다. '삼시 세끼 쌀밥' '한국인은 밥심으로 산다'는 말도 이미 옛말이 된 지 오래다.

전문가들은 쌀 소비가 줄어드는 주요 요인으로 사회의 변화를 꼽는다. '보릿고개'를 걱정하던 1950~1960년대와 달리 생활이 풍족해진데다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쌀이 주식에서 밀려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10~30대 젊은 층을 중심으로 밥과 국·반찬으로 이뤄진 오첩반상보다 파스타·피자·햄버거 등을 선호하면서 '쌀 시대'가 저물고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쌀과 달리 육류 소비량은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축산유통종합정보센터에 따르면 지난 2013년 기준 1인당 연간 육류 소비량은 42.7㎏으로 5.2㎏에 불과했던 1970년대보다 8배 이상 급증했다. 1.2㎏에 그쳤던 소고기 소비량은 10.3㎏으로, 돼지고기는 2.6㎏에서 20.9㎏으로 10배 가까이 늘었다. 닭고기 소비량도 1.4㎏에서 11.5㎏으로 껑충 뛰었다. 육류가 주류인 서구 음식의 전성시대라 할 만하다.



고희종 서울대 식물생산과학부 교수는 "시대가 변하면서 생활 수준이 높아지고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식탁 풍경도 바뀌고 있다"며 "삶이 풍족해지자 외식을 선호하는 이들이 늘고 쌀밥보다는 햄버거·파스타·피자 등으로 끼니를 해결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쌀 소비가 줄고 있다"고 설명했다.

1~2인 가구가 늘고 맞벌이가 보편화되는 등 삶의 모습이 바뀌고 있는 점도 쌀 소비 감소의 원인이다. 이들은 '귀찮다'거나 '편한 게 좋다'는 이유로 자주 외식을 하거나 간편식을 사 먹는 경우가 늘면서 집에서 잘 차려 먹는 모습은 구경하기가 힘들어졌다. 통계청에 따르면 2000년 1인 가구는 총 222만가구로 전체(1,431만가구)의 15.5%였는데 2005년에는 317만가구(20%)로 크게 늘었다. 2010년에는 414만가구로 23.9%까지 치솟으면서 전체 5곳 중 한 군데가 1인 가구가 됐다.

바쁜 일상으로 아침 식사를 거르는 세태도 밥이 식탁에서 설 자리를 잃고 있는 이유 중 하나다. 보건복지부가 2013년 시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아침 식사 결식률이 가장 놓은 연령대는 19~29세로 40.1%에 이른다. 대학 입학이나 회사 취업 등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젊은이 2명 중 1명은 아침 식사를 거르고 있는 셈이다. 청소년층인 12~18세(33.1%)와 직장인인 30~49세(27.7%) 연령대도 바쁘다는 이유로 아침 식사를 챙기지 않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의 이점식 박사는 "쌀밥이 주였던 집밥의 개념이 사라진 데는 1~2인 가구 증가 등 사회변화와 연관이 깊다"며 "준비시간이 긴 한식보다 간편한 음식을 찾고 있는데다 업체들이 1~2인 가구를 겨냥해 다양한 간편식을 내놓으면서 한식의 개념조차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