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경제규모에 비해 국민들의 행복 만족도가 떨어지는 우리나라에서 행복지수가 GDP를 대체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1일 기획재정부가 내놓은 '행복지수의 세계적 중요성과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오는 6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되는 유엔 지속가능개발회의를 통해 행복지수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행복지수는 고용ㆍ보건ㆍ교육ㆍ환경 등을 포괄하는 새로운 사회경제 지표다. 행복지수에 대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관심은 아직까지 높지 않은 실정이다. 국민의 행복 수준에 대해 국제기구가 측정한 결과도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조사결과 한국은 삶의 만족도, 소득, 일과 삶의 균형, 공동체 생활, 주거환경 등에서 점수가 깎여 34개국 가운데 26위에 머물렀다. 지난 4월 발표한 유엔 세계행복보고서에도 한국의 행복점수는 10점 만점에 5점대 후반에 그쳤다. 조사대상 156개국 중에 56위를 차지해 아시아국 가운데 일본ㆍ대만은 물론이고 소득이 우리나라보다 낮은 말레이시아ㆍ태국보다도 뒤처졌다.
보고서는 "국민소득이 2만달러 이상으로 늘었지만 소득분배ㆍ여가생활ㆍ환경ㆍ복지 등의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이 없다"면서 "경제성장은 물론 사회의 발전정도, 국민의 행복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한 기준이 필요하다는 데 국내외적 관심이 점점 높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