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지식경제부와 KOTRA가 공동으로 삼정KPMG에 의뢰한 'U턴 유망업종 조사' 결과 전자부품ㆍ컴퓨터ㆍ영상ㆍ음향ㆍ통신장비 등 5개 업종이 최우선 대상으로는 선정됐다.
중국에서의 비용상승이 가장 큰 이유다. 삼정KPMG는 "인건비ㆍ지가ㆍ물류비ㆍ법인세ㆍ관세를 기준으로 비용을 따졌을 때 중국보다 한국에서 생산하는 게 경제적 효과가 컸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근로자 1명이 1시간 동안 1달러어치를 생산할 때 받는 임금을 의미하는 '생산성조정임금'은 중국이 오는 2015년에 미국을 따라잡고 2017년에는 한국의 88% 수준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한진현 지경부 무역투자실장은 "중국의 임금이 높아진 반면 우리의 자유무역협정(FTA) 효과와 U턴 기업에 대한 세제지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우선 U턴 대상 5개 업종이 국내로 복귀하면 8만5,000∼51만1,000명분의 고용이 창출되고 국내총생산(GDP)을 7조5,000억∼42조2,000억원 늘리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이와 함께 중·단기 U턴 대상으로는 의복, 의복 액세서리·모피, 가죽, 가방·신발, 전기 장비, 기타 운송장비 등 제조업이 꼽혔다. 그 다음의 U턴 대상은 섬유제품 제조업(의복 제외), 화학물질·화학제품, 고무제품·플라스틱제품, 1차금속, 금속가공제품, 의료·정밀·광학기기, 시계, 기타 기계·장비 등 제조업이다.
다만 식료품ㆍ음료 등 제조업은 U턴 고려대상이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