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레일이 용산국제업무지구 토지매각계약해지 통보일을 하루 앞둔 19일 가진 긴급 기자회견은 표면적으로는 '삼성물산의 주관사 지위 포기'요구와 '새판 짜기'의지를 천명한 자리였다. 지급보증에 참여해 토지 매매 중도금을 납부하든지, 아니면 사업에서 아예 빠지든지 둘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최후 통첩'을 날린 셈이다.
하지만 이날 기자회견은 결국 코레일이 '계약해지 통보'라는 최후 수단을 유보하면서 삼성측에 다시 한번 적극적 참여를 요구하는 것 이상이 아니라는 평가다. 기존 사업 틀을 유지하면서 삼성물산만 배제시킬 수단이 마땅치 않을 뿐 아니라 현 시장상황에서 이를 대체할 새로운 건설투자자를 찾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김흥성 코레일 대변인이 "단군 이래 최대 알박기 사업"이라며 작심한 듯 삼성물산에 대해 날선 비판까지 쏟아냈지만 일각에선 '경고'라기보다는 '읍소'에 가깝다는 얘기도 나온다. 코레일은 이날 기자회견장에서'국민 여러분, 제발 삼성물산을 말려주세요"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주관사 지위 박탈할 수 있을까= 코레일은 오는 23일 열릴 예정인 드림허브 이사회에서 삼성물산의 '용산역세권개발' 경영권 박탈을 공식 논의한다는 입장이다.
용산역세권개발은 시행사인 드림허브의 자산관리위탁회사(AMC)로 전체 사업을 실질적으로 추진하는 일종의 '싱크탱크'다. 삼성물산은 자본금 30억원인 용산역세권개발에 13억5,000만원을 투자해 45.1%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체 이사 7명 중 대표이사를 포함한 5명의 이사추천권을 갖고 있다. 삼성물산이 사실상 지배하고 있는 용산역세권개발에서 손을 떼야 개발 사업이 제대로 굴러갈 수 있다는 게 코레일 측의 논리다.
하지만 23일 이사회에서 삼성물산의 경영권 박탈이 의결될 가능성은 낮다. 이사회 10명 중 8명 이상이 이 같은 안에 찬성해야 하는데, 삼성물산과 삼성SDS 등 삼성그룹 계열사 측 이사가 3명이나 되기 때문이다. 코레일은 이 경우 대주주의 권한으로 주주총회를 소집해 사업주관사 지위 박탈 여부를 표결에 부칠 계획이다. 주주총회에서는 전체 주주 중 3분의2가 찬성해야만 경영권을 빼앗을 수 있다.
코레일 관계자도 "현재로서는 삼성물산이 사업 추진에 대한 성의를 보여주는 게 최선의 방책"이라고 말했다.
◇새 틀 짜기도 '희망사항'일 뿐= 코레일은 삼성물산을 배제하더라도 사업 추진에 아무런 지장이 없다는 입장이다. 용산역세권개발을 구조 개편하고 제3의 건설투자자를 찾으면 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흥성 대변인은 "지난 2007년 사업공모 당시 입찰에 참여했다 탈락한 일부 건설업체를 비롯해 대형 그룹사 계열 IT기업들과 사업 참여에 대한 물밑 협상을 벌여왔고 적극적인 자세를 보인 투자자들도 꽤 있었던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에 대해 한 시행사 관계자는 "꽁꽁 얼어붙은 프로젝트 파이낸싱(PF)시장을 감안하지 못한 순진한 상황 인식"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8조원에 달하는 땅값 등 '사업'구조 자체를 바꾸지 않는 한 달라질 건 없다는 것이다.
한편 삼성물산은 이날 코레일에 대한 이렇다 할 공식적인 반응을 내놓지 않았다. 삼성물산의 한 관계자는 "이사회에서 적법 절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코레일의 또 다른 관계자는 "드림허브가 지난해 발행한 8,500억원 규모의 자산유동화증권(ABS)의 이자 납기일(9월17일)까지 극적 합의를 이끌어 내지 못하면 결국 파산으로 가는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