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중국 제일재경일보에 따르면 전일 저우 총재는 보아오포럼 '통화정책 전망' 포럼에서 "중국의 물가상승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할지, 본격적인 디플레이션 국면에 진입할지에 대한 경계를 늦춰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저우 총재가 중국의 디플레이션 가능성을 직접 언급한 것은 이례적이다. 중국 통화당국은 디플레이션 우려에도 올해 '신중한 통화정책'이라는 정책목표를 수정하지 않았다.
최근 중국 물가는 지난 1월 CPI가 0.8% 상승하는 데 그치며 1%대마저 무너졌다. 그나마 2월은 춘제(설연휴) 효과에 따라 1.4%로 회복했다.
저우 총재는 디플레이션 대책으로 인민은행이 주로 사용하던 양적완화 정책에 그치지 않고 통화정책을 포함한 다양한 정책을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중국의 추가 금리인하 시점이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특히 저우 총재는 글로벌 양적완화 추세가 확산되더라도 중국이 꼭 이러한 추세를 따라갈 필요가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디플레이션 대책은) 양적완화가 아닐 수 있다"며 "중국은 아직 실질금리가 마이너스 상태가 아닌 만큼 종합적인 정책수단을 통해 경제를 조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정책대응을 서두르지는 않겠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저우 총재는 "기준금리 및 지준율 인하, 공개시장 조작 등을 통해 공급한 유동성의 정책적 효과가 가시화하는 데는 6~18개월이 걸리는 만큼 인내심을 갖고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저우 총재의 이번 발언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디플레이션 우려와 정책효과가 더디게 나타나는 점을 감안해 인민은행이 정책대응을 서두를 것으로 예상했다. 장쥔 모건스탠리 이코노미스트는 "두 번의 금리 인하와 지준율 인하 효과가 실물경제에 나타나고 있지 않다"며 "급해진 인민은행이 추가 유동성 공급과 금리·지준율 인하 등 통화정책을 잇따라 쏟아낼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