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과 가족의 분화, 이혼증가 등의 사회현상이 맞물리면서 1인 또는 2인 가구가 계속 증가해 오는 2030년에는 전체 가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아울러 고령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2030년 고령자 가구주가 전체의 3분의1에 달하고 독신과 이혼의 증가로 여성 가구주 비율도 늘어날 것으로 추정됐다. 통계청은 인구 센서스와 장래인구추계 등의 자료를 기초로 2005∼2030년 장래 가구를 추계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여기서 가구는 혈연관계만 포함하는 ‘가족’ 또는 주민등록상의 ‘세대’와는 다른 개념으로 ‘1인 또는 2’. ◇2015년 전국 가구의 절반이 수도권 거주=올해 우리나라의 총 가구수는 1,641만7,000가구로 지난해보다 1.6% 늘었고 앞으로도 가구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2030년에는 1,987만1,000가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인구는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2018년 4,934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되지만 독신가구, 1~2인 가구 등이 늘면서 가구수는 증가세(증가율은 둔화)를 이어간다는 것이다. 올해 우리나라 일반가구의 평균 가구원 수는 2.83명으로 추정되며 ‘소가족화’가 지속되면서 2010년 2.73명, 2020년 2.48명으로 감소하고 2030년에는 2.35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2030년 1~2인 가구가 전체 절반 넘어=가구원 수별 가구분포를 보면 2007년 현재 4인 가구가 440만9,000가구로 전체의 26.9%를 차지해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2인 가구 369만3,000가구(22.5%), 3인 가구 344만3,000가구(21%), 1인 가구 329만8,000가구(20.1%), 5인 가구 123만가구(7.5%) 등의 순이었다. 그러나 가족의 분화 및 ‘소가족화’가 진행되며 2030년에는 2인 가구가 전체의 28.1%까지, 1인 가구가 23.7%로 각각 늘어나 1~2인 가구가 전체의 절반을 넘을 것으로 추정됐다. 가구원 수의 축소는 가구유형에도 영향을 미쳐 ‘부부+자녀가구’는 2007년 현재 전체의 42.0%에서 2030년에는 33.8%까지 감소할 것으로 관측됐다. 반면 같은 기간 ‘부부 가구’와 ‘1인 가구’의 비중은 각각 14.2%와 20.0%에서 20.7%와 23.7%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2007~2030년 65세 이상 가구주 16%→32%=이번 추계에서는 앞으로 20여년 동안 고령자와 여자 가구주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전국 장래 가구 추계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주의 비중은 지난 2005년과 2007년 각각 15.2%, 16.3%에서 2030년에는 32.3%로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2007년 현재 47.5세인 가구주 연령의 중간값, 즉 ‘중위 연령’ 역시 2030년 57.3세로 9.8세나 높아지고 남자 가구주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연령층도 2007년 45~49세(11.7%)에서 2030년에는 55~59세(9.5%)로 바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