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盧 서거] 비운으로 얼룩진 대한민국 대통령史
입력2009-05-23 15:46:47
수정
2009.05.23 15:46:47
무소불위 권력 불구 하야·시해·구속 등 고초 겪어
SetSectionName();
[盧 서거] 비운으로 얼룩진 대한민국 대통령史
무소불위 권력 불구 하야·시해·구속 등 고초 겪어
구동본
기자 dbkoo@sed.co.kr
전직 대통령들의 ‘수난’과 ‘비운’ 역사가 23일 노무현 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서거로 또다시 주목받고 있다.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 전 대통령부터 노무현 전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모두 9명의 역대 대통령들은 재임 중에는 무소불위의 권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대부분 ‘하야’와 시해, 측근 구속, 검찰 수사 등 수난과 비운을 겪었다. 이승만ㆍ박정희 전 대통령은 장기집권의 권력 욕이 각각 ‘하야’와 ‘시해’를 불러왔고 전두환ㆍ노태우 전 대통령은 퇴임 후 군부 쿠데타 집권과 권력비리로 구속됐다. 민주화를 이끈 김영삼ㆍ김대중 전 대통령은 재직시절 아들들의 비리로 곤욕을 치렀다.
◇하야 후 이국서 생 마감한 이승만 전 대통령=전직 대통령 수난사는 ‘건국의 아버지’로 불렸던 이승만 전 대통령이 망명 길에 오르면서 시작됐다. 이 대통령은 초대 대통령으로서 국가발전의 틀을 짜고 민주주의의 싹을 뿌린 공적을 남겼으나 장기집권으로 불행을 자초했다.
이 전 대통령의 권력욕은 1960년 3ㆍ15 부정선거로 이어지고 결국 이 전 대통령은 4ㆍ19 혁명이라는 ‘국민의 힘’에 굴복, “국민이 원한다면 대통령직을 사임하겠다”는 말을 남긴 채 하와이로 망명해 이국 땅에서 생을 마감하는 비운을 맞았다.
4ㆍ19 혁명으로 내각책임제 체제 아래 대통령직에 오른 윤보선 전 대통령도 결국 5ㆍ16 군사쿠데타로 도중하차, 대통령 수난사에 한 장을 보탰다. 윤 전 대통령은 박정희 정권 시절 반유신운동과 관련해 모두 3차례에 걸쳐 사법처리됨으로써 최초로 법정에 선 대통령으로 기록됐다.
◇심복의 총탄에 쓰러진 박정희 전 대통령=5ㆍ16 쿠데타로 권좌에 오른 박정희 전 대통령도 1972년 ‘10월 유신’으로 종신집권체제를 구축하려 했으나 18년의 장기집권 끝에 1979년 10월26일 자신의 심복인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의 총탄에 의해 쓰러졌다.
박 전 대통령은 우리나라 근대화와 경제발전을 견인한 업적을 이룩했으나 1969년 3선 개헌을 시작으로 끊임없이 계속된 권력욕으로 인해 대한민국 역사의 한 페이지에 ‘시해’라는 초유의 기록을 남겼다.
박 전 대통령 서거 이후 과도기를 이끌었던 최규하 전 대통령은 헌정사상 최단명의 대통령직을 수행한 비운의 대통령이었다. 최 전 대통령은 박 전 대통령의 서거로 갑작스레 대통령직에 올랐지만 1980년 신군부의 집권으로 8개월여 만에 하야했다. 이어 1989년 신군부 등장과 관련한 증언을 거부하다 국회 광주특위에서 국회 모독죄로 기소됐고, 1996년 ‘12ㆍ12 및 5ㆍ18사건’ 항소심 공판에 강제 구인되기도 했다.
◇집권 멍에 ‘옥살이’ 한 전두환ㆍ노태우 전 대통령=박 전 대통령에 이어 군부의 힘으로 대통령직에 오른 전두환 전 대통령과 노태우 전 대통령도 집권 당시 ‘원죄’와 부정축재로 인해 퇴임 후 ‘옥살이’를 하는 수난을 겪어야만 했다.
육사 시절부터 친구 사이인 두 사람은 1979년 10ㆍ26 사건 이후 ‘12ㆍ12 군부 쿠데타’, 1980년 5월 ‘5ㆍ18 광주민주항쟁 무력진압’ 등 총칼을 앞세워 차례로 대통령직에 올랐지만 후임 대통령인 김영삼 정권 시절 각각 사형과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2년 가량 복역하다 사면조치로 풀려났다.
특히 전 전 대통령은 자신으로부터 대통령직을 ‘물려받은’ 노태우 전 대통령의 압력에 의해 1986년부터 91년 사이 두 차례에 걸쳐 백담사에 유배되기도 했다.
◇재임시절 곤욕 치른 김영삼ㆍ김대중 전 대통령=군사정권 이후 민주화 시대를 연 ‘양김’(兩金)인 김영삼ㆍ김대중 전 대통령도 재임 시절 자신의 아들이 구속되는 불운을 겪어야만 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차남 현철씨는 재임 시절인 1997년 한보 비리 사건에 연루돼 구속된데 이어, 퇴임후 2004년 조동만 전 한솔 부회장으로부터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구속됐다.
김 전 대통령 자신은 문민정부 시절 안기부 예산 선거전용 의혹 사건인 이른바 ‘안풍사건’이 터지며, 2004년 증인으로 채택되기도 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도 임기말 차남 홍업씨와 3남 홍걸씨가 기업체로부터 청탁 명목으로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구속 기소되는 아픔을 겪었다. 당시 김 전 대통령은 두 아들이 한달새 잇따라 구속되자 대국민 사과를 했다.
정치개혁과 높은 도덕성을 표방하며 참여정부를 탄생시킨 노무현 전 대통령도 전직 대통령들이 겪은 수난과 비운의 업보를 비켜가지 못했다.
노 전 대통령은 재임 시절 도덕성을 최대의 무기로 내세웠으나 퇴임 이후 ‘박연차 게이트’에 연루되면서 검찰 수사를 받는 불명예를 기록했고, 검찰 수사가 진행되던 중 서거하는 비운을 맞이했다.
盧 전 대통령 영정 본 분양소로 이동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틀째인 24일 오전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 마련된 임시분향소에서 盧 전 대통령의 영정사진이 본 분향소로 옮겨졌다. 한명숙, 이해찬 전 국무총리가 영정을 앞에서 들고 뒤로 아들 건호 씨와 가족들이 따랐다./ 김해= 한국아이닷컴 고광홍기자 kkh@hankooki.com kkh@hankooki.com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오늘의 핫토픽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