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장이 부회장과 심판위원장 같은 요직을 가족일가로 구성해 공금을 빼돌린 대한공수도연맹의 비리구조에는 말문이 막힌다. 승부조작과 금품수수 혐의로 벌금을 선고받고도 버젓이 협회 고위임원으로 활동하는 경우도 있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배구와 야구 같은 인기종목 경기단체도 썩은 냄새가 진동한다.
이번 특감은 지난해 5월 전국체전 태권도 고등부 선발전에서 심판의 편파판정으로 탈락한 선수의 아버지가 자살한 사건에서 비롯됐다. 자신의 목숨을 끊어 사회적 경종을 울리지 않았더라면 체육계 비리는 자칫 묻히고 넘어갈 수도 있었을 것이라는 생각에 아찔하다.
어쩌면 이번에 드러난 비리가 빙산의 일각일지도 모른다. 그동안 체육계 일각에서 불거져 나온 편파판정과 승부조작 시비, 횡령 의혹들은 단순한 일회성 돌발사안이 아니라 뿌리 깊은 부패와 전횡이 곪아 터져 나온 것이라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 정부가 뒤늦게라도 비리사실을 적발하고 지배구조 개선을 포함한 전반적인 제도개선에 나선다니 그나마 다행이다. 검찰은 신속하고 엄정하게 수사해 체육계에 비리가 더이상 발붙이지 못하도록 환부를 도려내야 할 것이다. 체육계도 스스로 개혁하지 못하면 외부에서 메스가 가해질 것임을 명심하고 환골탈태의 계기로 삼기 바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