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들의 혁신도시 이전작업이 지지부진 하면서 이를 개발하는 사업시행자들의 부담이 크게 늘고 잇는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정부와 정치권이 세종시 원안 수정과 4대강 사업 등에 집중하면서 혁신도시 건설이 뒷전으로 계속 밀릴 경우, 해당 사업시행사인 도시공사 등은 이자 부담에 따른 경영난에 직면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광주도시공사는 금융권으로부터 수천억원을 빌려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토지 보상에 나섰지만, 한전 등 공공기관 이전이 지연되면서 이자비용만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최근 광주시의회에서 진행된 광주도시공사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나타났다.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도시공사는 지난 2005년 6월 24일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 계획이 발표되고 나서 2007년 6월부터 현재까지 2,420억원을 은행권 등에서 빌려 토지보상에 나섰지만, 혁신도시 건설 지연으로 토지 매각이 제대로 되지 않아 막대한 이자를 상환해야 한다. 지난 2007년 11월 착공돼 2012년까지 나주 금천ㆍ산포면 일대 731만6,000㎡에 총사업비 1조7,000억원이 투입되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의 시행사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ㆍ지분 42.6%), 광주도시공사(23.8%), 전남개발공사(33.6%) 등이다. 도시공사는 2007년 6월 농협으로부터 1,000억원(연5.4%), 11월 광주은행으로부터 420억원(연5.4%), 올해 1월 증권회사로부터 1,000억원(연4.75%) 등 총 사업비 3,935억원 중 2,420억원을 빌려 혁신도시 토지 보상비로 지급했다. 이에 따른 이자 지급액만 188억6,400만원에 달한다. 지난 2007년에는 35억2,800만원, 2008년 76억6,800만원, 올해 76억6,800만원의 이자가 발생했고, 오는 2012년까지는 무려 389억7,900만원의 이자를 지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도시공사와 함께 시행사에 포함된 전남개발공사도 차입금 2,600억여원에 달하는 3년 누적이자액만 200억원에 달한다. 유재신 광주광역시의원은 "광주ㆍ전남혁신도시는 현재 10%의 공정에 머물고 있고 한전 등 주요 공공기관의 부지공급도 이뤄지지 않는 등 지지부진한 상태다"며 "공공기관의 이전이 늦어진 만큼 중앙정부로부터 이자분에 대해 지원을 받아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도시공사 관계자는 "이자비용 전액이 용지판매 분양 원가에 포함돼 이자 상환에 따른 사업비 추가부담 문제는 없다"고 해명했다. 한편 광주ㆍ전남공동혁신도시는 지난 4월 부지조성공사에 들어간 뒤 12월부터 내년 4월까지 이전 공공기관 부지공급협의를 거쳐 2012년 6월 준공할 예정이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