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GEOSS 구축' 국가적 대응 시급

지진해일·허리케인 등 자연재해 세계가 공동대처<br>관련기술 선점으로 국가 경쟁력 제고 효과<br>美·日 벌써 10대 기간기술 선정 등 주도 나서<br>정부 '기후 등 12개 관측분야' 적극투자 필요


2008년도 발사예정인 통신해양기상위성1호

해일을 엄청난 피해를 준다

허리케인 ‘카트리나’의 진행 방향과 세기를 하루 일찍 예측을 했더라도 미국이 지금 같은 막대한 인명과 재산 손실을 겪지 않았을 것이다. 갈수록 심해지는 지구온난화도 원인과 영향을 정확히 알고 책임소재를 규명할 수 있다면 예방도 가능하다. 최근 급증하고 있는 지진해일 등 자연재해와 지구온난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지구관측시스템(GEOSSㆍGlobal Earth Observation System of Systems)의 구축 추진이 본격화되면서 이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대응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GEOSS 구축을 통해 자연재해에 미리 대응,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소극적인 입장 뿐만 아니라 관련 기술을 선점함으로써 국가경쟁력을 높인다는 의미도 있기 때문이다. 향후 기후나 농업, 해양생태계, 수자원 등을 통제ㆍ조작함으로써 엄청난 규모의 시장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지구적인 환경 감시 필요=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지구온난화나 자연재해, 전염병 등은 한 국가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정도를 넘어섰다. 이와 함께 기후감시와 모델링, 농업ㆍ임업 관리, 물ㆍ에너지 관리, 해양 생태계 관리, 국제환경협약 유지 등 지구촌 전체가 공동 노력해야 할 사안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국가경제 증진을 저해하는 요인을 줄이기 위해 효율적인 자료 정보교환을 위한 시스템의 구축 필요성이 제기되는 셈이다. GEOSS는 크게 3부분으로 조직된다. ▦대기ㆍ해양ㆍ육지ㆍ생태계 등 모든 지구시스템에 대한 현장관측 ▦항공기 등을 이용한 공중관측 ▦인공위성을 이용한 우주기반을 둔 관측 등을 모두 망라한다. 다만 관측시스템을 모두 새로 만드는 것은 아니다. 이미 존재하는 관측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향후 새롭게 개발되는 시스템을 조화롭게 만드는 것이다. 특히 관측뿐만 아니라 정보 생산도 포함, 수요자의 욕구를 맞는 맞춤정보를 공급하는 것이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불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개개 시스템을 생각해 보면 산불발생 가능성에 대한 예측시스템과 산불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진화시스템 및 산불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처시스템이 있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 및 평가시스템도 필요하다. 현재 개별 시스템은 많은 발전을 이뤘으나 이들을 통합하는 시스템은 구축이 미약하다. 필요한 정보가 공유되지 못해 효과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 12개 관측분야 선정=
GEOSS의 필요성이 처음 제기된 것은 2002년 9월 남아프리아공화국에서 열린 지속가능발전세계정상회의. 당시 ‘통합된 지구관측 연구 프로그램 및 전지구관측시스템 간에 향상된 협조와 조정’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후 2003년 7월 미국의 주도로 ‘제1차 지구관측 장관급회의’가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돼 지구관측시스템 구축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됐다. 결국 지난 2월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제3차 지구관측장관급회의에서 정부간 국제기구인 지구관측그룹(GEO)의 설립과 ‘GEOSS 10개년 이행계획’이 승인돼 GEOSS 사업이 실행단계에 도달했다. GEO에는 8월 현재 미국, 일본 등 세계 58개국과 유럽공동체(EC) 및 43개 국제기구가 참여하고 있으며 사무국은 스위스 제네바 소재 세계기상기구 본부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8월말 ‘GE0SS 국가대응전략’을 마련하고 사회ㆍ경제적 편익분야를 극대화할 수 있는 12개 관측분야를 선정했다. 재해, 보건의료, 에너지 자원, 기후, 수자원, 기상, 생태계ㆍ생물다양성, 농업, 산림, 해양, 우주, 국토공간정보 등이 그것. 특히 12개 관측분야 중 시급히 추진해야 할 5개 중점 추진분야로 ▦자연재해 경감 ▦기후 및 환경변화 ▦보건ㆍ건강 ▦생물다양성의 보전ㆍ관리 ▦물 순환의 이해와 관리 등을 도출했다. 내년 2월까지 국내 실정에 맞는 ‘10개년 이행계획’과 ‘세부계획’을 마련한다는 복안이다. ◇지구관측 기술선점 절실=
최근 GEOSS 국가대응전략위원회를 꾸린 정부는 지난 12일 기상청에 GEO 한국사무국을 개소했다. GEOSS의 중요성에 비하면 아직 정부 내에서나 사회적 관심은 크지 않는 편이다. 전문가들은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교토의정서 서명조차 거부하고 있는 미국이 GEOSS 구축에는 앞장서고 있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미래 각광 받게 될 지구관측기술에 대한 주도권을 놓치지 않으려는 복심(腹心)이 반영된 것 아니냐는 것이다. 미국은 지난 2003년 6월에 이미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산하 환경 및 천연자원위원회에 지구관측소위원회를 만들고 지난 4월 ‘미국 통합 지구관측 시스템 전략계획’을 완성했다. 이웃나라 일본도 지난 1월 GEOSS를 일본을 먹여 살릴 미래 국가 10대 국가기간 기술로 선정했으며 기존의 우주개발이용 기본전략과 연계,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박광준 GEO 한국사무국장(기상청 관측뮌?은 “GE0SS에 대한 국가 대응전략 세부계획을 마련, 여론수렴과 예산확정 절차를 거쳐 2007년부터 본격적인 사업을 시작할 것”이라며 “국내적인 재해예방 뿐만 아니라 관련 기술선점을 위해서도 GEOSS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