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30대그룹 고용 '제자리걸음'…작년 증가율 1.3% 그쳐

지난해 국내 30대 그룹의 고용 증가율이 고작 1.3%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경제성장률(3.3%)에 턱없이 모자라는 것은 물론 전년도 고용 증가율(1.6%)에도 미치지 못한다.

게다가 ‘고용의 질’도 나빴다. 계약직 직원 증가율이 정규직보다 무려 4배나 높았다.

그룹별로는 신세계, 현대차, 현대백화점이 5% 이상의 고용 증가율을 기록해 ‘톱3’를 형성했다. 대우건설과 동부는 반대로 고용 감소율이 10%를 넘었다.

8일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사업보고서를 제출하고 전년도와 비교 가능한 30대 그룹 274개 계열사의 고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2014년 말 기준 전체 직원 수는 102만3,574명으로 전년(101만868명)보다 1만2,706명(1.3%) 늘어나는 데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총생산(GDP) 기준 실질 성장률(3.3%)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저조한 수준이다. 2013년 고용 증가율(1.6%)보다도 0.3%포인트 낮아졌다.

고용형태별로는 정규직이 93만6,230명에서 94만5,810명으로 1.0% 늘어나는 데 머물렀다. 반대로 계약직은 7만4,638명에서 7만7,764명으로 4.2%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정규직 직원 비중이 92.6%에서 92.4%로 0.2%포인트 떨어졌다. 계약직은 현장 채용직, 시간제근로자 등이다.

30대 그룹 중 지난해 직원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신세계로 파악됐다.

사업보고서를 제출하는 신세계 계열 9개 기업의 직원 수는 4만877명으로 전년(3만7,642명) 대비 8.6% 증가했다. 신세계푸드의 직원 수가 신세계에스브이엔 합병과 신규 채용으로 1,700여명이나 늘었고, 이마트와 에브리데이리테일도 각각 743명(2.7%), 619명(28.3%) 늘렸다.

2위는 현대차그룹으로 14만2,764명에서 15만672명으로 5.5% 늘었다. 현대차가 신규채용 등으로 1,800명(2.9%) 이상 증가했고, 현대엔지니어링은 합병 등 사유로 1,000명 넘게 늘었다. 현대캐피탈은 파견직을 계약직으로 직접고용하면서 1,000명 이상 증가했다.

현대백화점이 5.1% 증가로 3위를 차지했다.



이어 롯데(3.9%), 한화(3.1%), 포스코(3%)가 3% 넘는 고용 증가율로 4∼6위에 자리했다. 이어 현대중공업(2.8%), 대우조선해양(2.3%), 삼성(1.9%), 에쓰오일(1.7%) 등이 10위권에 들었다.

직원 증가율이 지난해 경제성장률을 상회하는 그룹은 신세계·현대차·현대백화점·롯데 등 4곳에 불과했다.

대우건설은 6,382명에서 5,543명으로 직원 수가 줄어 감소율(13.1%)이 가장 컸다. 지난해 공시된 직원 수에 해외기능직 등이 제외됐기 때문인데 정확한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다.

제조부문 계열사의 구조조정에 나선 동부가 11.3% 감소로 뒤를 이었다. 이어 영풍(-9.6%), KT(-7.4%), 현대(-6.4%), CJ(-5.6%) 등이 5% 이상 고용 규모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동국제강(-3.9%), 코오롱(-3.2%), 대림(-3.0%), OCI(-2.0%), LS(-1.8%), 한진(-1.0%), 두산(-0.9%)도 직원 수를 줄였다.

직원 수가 가장 많은 곳은 삼성으로 23만3,797명으로 집계됐다. 이어 현대차(15만672명), LG(12만2,331명), 롯데(6만649명), SK(5만5,387명) 순이었다. 이들 5대 그룹의 직원 수는 30대 그룹 전체의 60.8%를 차지했다.

30대 그룹 중 정규직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OCI였다. 사업보고서를 제출하는 8개 계열 기업의 직원 5,737명 중 5,626명(98.1%)이 정규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영풍(97.7%), 효성(97.5%), 미래에셋·대우조선해양(각 97.0%), LG(96.9%) 순으로 정규직 비중이 높았다.

대우건설은 계약직 비중이 25.1%로 가장 높았다. KT(22.5%), 대림(20%), 금호아시아나(12.4%), 한화(12.1%), 신세계(11.1%), 롯데(10.5%) 등도 계약직 비중이 10%를 넘었다.

CEO스코어 박주근 대표는 “최근 3년간을 조사해보니 고용 증가율이 1%대를 벗어나지 못했다. 이는 실제로 고용을 안 늘리는 것과 마찬가지로 정부의 독려를 무색하게 한다”면서 “특히 양질의 일자리인 30대 그룹의 고용이 늘지 않는 건 우려할 만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