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부실채권시장에 충분히 도전할 만하다. 이를 위해서는 정보교류와 국가적 차원의 규제완화가 뒷받침돼야 한다.” 서울경제신문이 최근 실시한 ‘국내 기관의 아시아 부실채권시장 진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인 하나ㆍ우리은행과 벤처캐피털(스틱), 부동산개발사(랜드마크), M&A중개업체, 법무ㆍ회계법인 실무자 15명이 응답한 공통적인 사항이다. 이들은 “아시아 부실채권시장에 자본을 투자할 매력을 충분히 느낀다(10명)”며 “다만 본격적인 진출을 위해서는 정보교류 또는 공동투자(8명)와 규제완화(5명)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특히 대부분의 기관(10명)이 언론이나 리서치 기관에서 발표한 데이터만 축적해놓고 있을 뿐 해당 지역과의 인맥관계는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 부실채권시장 진출에 가장 용이하다고 생각하는 기관이 어느 곳이냐는 질문에는 은행과 증권사(7명)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 KAMCO(5명), 사모펀드(3명) 순이었다. 한국이 미국ㆍ유럽 등 선진 투자금융기관과 경쟁력이 있다고 보느냐는 물음에 분야나 지역에 따라 상대적인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10명)고 밝혀 사전 시장조사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KAMCO의 한 관계자는 “국내 금융회사들이 막강한 자본력과 정보력을 앞세운 외국계 투자은행과의 싸움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철저한 사전학습과 틈새시장 발굴은 기본이고 서구 선진국과는 다른 차별성을 부각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에서 수년간 지속돼온 외국 투자가에 대한 헐값 매각 비난이 중국 등 다른 국가에서도 일고 있어 같은 아시아 국가라는 ‘정서적 교감’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