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등록건수보다 돈되는 특허 확보해야"

김문주 아주대 초빙교수·HPC 기술자문역<br>지식재산 우수품질이 기업혁신 평가하는 잣대<br>미래 먹거리 찾기위해서는 혁신통한 IP축적 지속돼야


"국내 글로벌 기업들의 연간 특허 등록건수는 이미 상당 수준에 이르렀지만 질적으로는 아직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돈이 되는 우수한 특허를 서둘러 확보해 지식재산(Intellectual PropertyㆍIP)을 강화하지 않으면 앞으로 벌고 뒤로 큰 손해를 보게 될 겁니다."

28년간 IBM 본사에서 일하면서 '수석발명가(master inventor)'로 불렸던 김문주(64ㆍ사진) 아주대 지식재산공학과 초빙교수는 "특허를 포함한 지식재산의 품질이 기업혁신을 평가하는 잣대"라며 이같이 경고했다.

김 교수는 지난 2009년 IBM 퇴직 후 미국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벤처투자사인 하버퍼시픽캐피털(HPC) 기술자문역을 맡아왔고 한때 삼성전자 사장단 기술고문도 지냈다.

그는 "IBM이 페이스북에 특허 500건을 10억달러에 판매하는 등 매년 IP로 최대 35억달러에 이르는 막대한 추가 이익을 거둬들이고 있다. 수십년간 알토란 같은 IP를 쌓아놓은 덕분"이라며 "특허 출원과정부터 기술의 혁신정도ㆍ사업성 등을 꼼꼼하게 따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교수는 1982년 IBM에 입사해 컴퓨터 엔지니어로는 최고 자리인 CSA(Chief System Architect)에 올랐고 혁신적 아이디어를 쏟아내 미국 특허 68건을 포함해 150여건의 국제특허를 등록, IBM가 연간 수억달러의 수익을 챙길 수 있게 해줬다. 대형 컴퓨터 '시스템z' 시리즈와 병렬형(MPP) 슈퍼컴, 그리드 컴퓨터인 GT3, 초고속 브로드밴드 네트워크시스템인 HFC 등의 개발에 주도적 역할을 했다. 최근에도 저전력 모바일 전자부품, 모바일용 반도체칩 디자인 등 관심 분야에 매년 10여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다.



아주대 산업대학원 지식재산공학과 설립 당시 자문한 것이 인연이 돼 3년째 초빙교수로 일하고 있는 그는 "미국의 공대에서는 3~4학년 때 대부분 창업을 한다"며 "물론 창업에 앞서 자신의 IP를 먼저 확보하는 게 수순"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아주대 지식재산공학과에서 특허등록 과정과 특허의 비즈니스 전환 등 IP와 관련된 나의 지식을 학생들에게 전수하고 있다"며 "이곳 학생들도 이제 IP를 근거로 창업을 시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 교수는 국내 벤처투자의 문제점에 대해 "실리콘밸리에서는 벤처를 발굴할 때 인간성, 비전과 계획, IP 등 세 가지를 중점적으로 평가한 뒤 전폭적으로 지원한다. 투자실패 책임도 투자자가 진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창업자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것 같다"며 "스타트업 기업에 자금을 지원하기 전에 그들의 IP 수준을 먼저 평가해야 한다. IP가 탄탄한 기업들은 쉽게 사라지지 않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혁신을 통한 IP 축적을 게을리한다면 미래의 먹거리를 찾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거미줄처럼 복잡한 미국의 벤처 생태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우리 중소기업에서 세계적인 기업이 나오지 않는 것 같아 그동안 쌓은 지식을 그들과 나누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1972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컴퓨터공학 명문대인 시러큐스대에서 컴퓨터 엔지니어링을 전공했다. IBM 사내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딴 그는 "컴퓨터 회로 설계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운영에 관련된 방대한 지식을 섭렵해야 하는 컴퓨터 엔지니어링은 과학을 넘어선 예술의 경지"라며 "빌 게이츠도 시스템 아키텍트였다"면서 으쓱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