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여야 대권 잠룡들 발 묶여 '속앓이'
입력2010-12-28 16:33:46
수정
2010.12.28 16:33:46
김문수ㆍ오세훈ㆍ이재오는 공직에, 손학규ㆍ정동영ㆍ정세균은 장외 투쟁에 발 묶여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대선을 2년 앞둔 시점에 정책 연구소를 가동, 사실상 조기 대권행보에 나서면서 여야 대권 경쟁 주자들이 속앓이를 하고 있다.
차기 유력 대권 주자로 떠오른 박 전 대표가 대권을 향해 걸음을 재촉하고 있는 반면 여야 경쟁 주자 자신들은 각각 이런 저런 이유로 대권행보에 발이 묶여 운신의 폭이 좁기 때문이다.
특히 가뜩이나 현재 지지율에서 압도적 우세를 보이고 있는 박 전 대표의 대권 잰걸음이 ‘박근혜 대세론’으로 이어질지 경계하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여권 주자인 오세훈 서울시장, 김문수 경기도지사, 이재오 특임장관 등은 임기가 한참 남은 공직자로서 섣불리 대권행보에 나서기 어려운 처지다. 자칫하다간 “공직을 대권 도전에 이용한다”는 비난의 화살만 받을 수 있어서다.
야권 주자인 민주당의 손학규 대표, 정동영ㆍ정세균 최고위원도 마찬가지다. 당 지도부가 단일대오를 갖춰 장외에서 한나라당의 새해 예산안 강행처리를 규탄하는 등 여권과 각을 세우고 있는 마당에 대권을 향한 ‘개인 플레이’가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반면 지난 17대 대선과 비교했을 때 박 전 대표는 10개월 일찍 움직이기 시작했다. 경쟁 주자들은 그가 신경 쓰이면서도 드러내놓고 대선행보를 할 수 없는 처지인 셈이다.
한나라당의 경우 오세훈 시장, 김문수 지사는 모두 재선으로 임기가 3년 6개월 남은 지방자치단체장이다. 이들은 모두 성공한 행정경험을 바탕으로 대선 발판을 마련한 이명박 대통령과 같은 길을 걷고 싶어한다. 하지만 17대 대선 당시 이명박 후보는 서울시장 임기를 끝낸 터라 2006년 10월 대선을 14개월 앞두고 움직일 수 있었다. 두 사람보다 유리한 조건이다.
실제 김문수 지사는 얼마 전 자신의 팬클럽인‘광교포럼’을 출범하려다 대선조직으로 비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무기한 연기할 정도로 조심스럽다. 김 지사의 한 측근 의원은 28일 기자와의 통화에서“대선 후보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내공”이라면서“당에 이미 정책위원회와 비전을 가진 인재들이 있는데 지금부터 당 바깥에 조직을 만들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김 지사의 또 다른 측근은“국민 입장에서 지금 중요한 것은 경제나 안보 같은 현안이지 대선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오세훈 시장도 시정활동에 전념할 생각이다. 오 시장의 측근 인사는“이미 지난 지방선거 당시 전문가 및 참모 그룹이 형성돼 있다”면서“박 전 대표와 대립각을 세울 생각은 없지만 오 시장은 복지에 앞서 경제 동력과 일자리를 찾아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라고 전했다.
이재오 특임장관 역시 잠재적인 주자로 분류되지만 이명박 정부의 개국 공신으로서 차기 대권을 준비하기는 부담스럽다. 이 장관의 최측근 인사는“이 장관은 이명박 정부를 성공시키면 차기에 누가 한나라당에 올라타도 정권재창출이 가능한 것 아니겠느냐고 한다”면서“주자가 대권행보를 한다고 지지율이 오르는 게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하지만 손 놓고 있을 수만 없다는 게 이들의 속내다. 김 지사가 무상급식을 반대하다 찬성파 주장을 수용하고, 오 시장이 계속 반대소신을 굽히지 않는 것, 이 장관이 현장 탐방에 주력하는 일 모두 넓은 의미의 대권 행보라는 이야기다.
민주당 내‘빅3’대선주자로 분류되는 손 대표, 정동영ㆍ정세균 최고위원은 겉으로는 하나같이 박 전 대표의 행보를 의식하지 않는 모양새다.
손학규 대표는 한 인터뷰에서 박 전 대표의 ‘한국형 복지’에 맞선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지금은 정책을 얘기할 때가 아니다”라고 말한 바 있다. 손 대표의 한 측근은 “지금은 대권을 말할 때가 아니라 야당 대표로서의 본분에 충실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정동영 최고위원의 경우 박 전 대표가 정책연구소를 만들기 전부터 한민족경제비전연구소 등에서 함께 했던 전문가그룹들과 교류를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측근은“박 전 대표처럼 겉으로 드러나는 연구소 형태를 취해야 할 지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정세균 최고위원은 예정된 싱크탱크 출범과 지역별 활동에 집중하고 있다. 이미 박 전 대표가 독보적 대선주자인 현실에서 조바심을 내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정 최고위원 측은 내년 1월 출범을 목표로 학계 모임인‘미래정치경제연구회’인사들과 정ㆍ재계 인맥이 참여하는 독자적 싱크탱크를 출범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나라당의 한 당직자는“공직자와 여야 국회의원의 행보는 다를 수 밖에 없다”면서“각자 상황에서 가장 국민에게 최적으로 다가가는 방법을 찾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