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23일 ‘역세권 기능 재정립 및 활성화 실현방안’ 연구용역을 통해 기존 291개 역세권은 물론 새로 들어서는 역세권까지 전수조사해 유형별 개발 방향과 도시계획적 지원방안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먼저 연내 전수조사를 통해 역세권 현황과 각 지역이 가진 잠재력을 분석하고 고밀도 개발에 따른 효과가 기대되는 대상지를 선별, 대상지별로 실제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사업모델까지 포함하는 ‘역세권 개발 종합 패키지’를 연말께 발표한다.
이번 연구는 최근 시가 발표한 ‘역세권 2030주택’을 포함해 주거는 물론 업무와 상업까지 다양한 용도를 모두 아우르는 종합계획 수립이 목표다. 그간 도시계획에서 개별 역세권에 대한 활성화 방안이 논의된 적은 있지만, 서울 역세권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것은 처음이다.
이외에도 시는 연구 용역을 통해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공간구조 재편 방향 정립 △도시활동 및 잠재력을 고려한 역세권 관리방향 설정 △역세권 고밀개발 대상지 선정 및 용도지역 조정 제도화 방안 △사업 추진을 위한 제도 개선방안 등 맞춤형 사업모델 등을 마련할 예정이다.
김학진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지난 2013년 발표한 ‘100년 도시계획’의 기조 아래 한양도성·한강 같이 성장시대에 소외된 가치들을 바로 세우는 동시에, 활성화할 곳은 활성화하는 유연하고 능동적인 도시계획을 병행해나갈 것”이라며 “역세권에 일자리가 늘어나고 주거공간이 확대돼 시민 생활의 중심이 되고, 지역경제 활성화로도 이어질 수 있도록 활성화 방안 마련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재유기자 0301@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