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 국가뿐이 아니다. 유로존은 아니지만 마이너스 금리 상태인 덴마크·스위스·스웨덴도 마찬가지다. 이들 국가 역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관련 통계를 작성한 1995년 이후 가장 높은 저축률을 기록하고 있다. 반면 경제가 살아난다는 증거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의외인 것은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하지 않은 미국과 영국의 저축률이 오히려 안정된 수준이거나 낮아지는 추세라는 점이다.
당초 기대와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은 경기 불안감이 워낙 커 중앙은행의 금리정책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금리를 내릴 때마다 경기침체 우려가 증폭되면서 소비를 줄여 실물경제 둔화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 일본이 마이너스 금리 도입에 이어 추가 양적완화에까지 나섰지만 엔화강세에 주가가 급락하는 역효과가 나타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11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두고 미국의 금리 인상 전에 선제적으로 금리 인하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미 사상 최저 수준(1.25%)인 금리를 더 내릴 경우 역작용을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도 많다. 6월 인하 이후 소비·투자는 늘지 않고 가계부채만 급증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은행 수신 급증이라는 이상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이제는 금리 인하의 역풍을 고민해볼 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