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선과 여객선은 총 4,230여척이다. 이 가운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한 관공선은 530여척으로 12.5%나 된다. 관공선은 안전·환경 감시, 보안 등의 공공서비스는 물론 국민의 해상교통까지도 책임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 관공선의 노후화는 염려스러운 수준이다. 선령 20년을 넘은 관공선이 전체의 15%(80여척)나 차지해 앞으로 문제가 예상된다. 선박은 관리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안전하고 품질 좋은 서비스를 위해 대개 20년 또는 25년을 주기로 교체한다.
대국민 서비스에 주로 활용하는 관공선의 성능 저하로 공공서비스가 차질을 빚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국유 여객선은 낙도와 육지를 연결해 연간 41만명을 수송하는 대체 불가능한 국민 교통수단이다. 또한 중국 불법조업 어선을 감시·단속하는 어업지도선이 중국 어선보다 성능이 저하되면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 관공선 노후화로 큰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교체하는 일이 시급한 이유다.
지속적인 관공선 구매는 중소 조선소의 기술력 향상에도 효과적이다. 중소기업은 일하면서 기술을 습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선 일감이 급감한 지금은 오히려 관공선 건조를 늘려나가면서 효율적으로 중소 조선소의 기술력 향상을 지원해야 한다.
인천항만공사가 건조한 ‘에코누리’호는 좋은 사례다. ‘에코누리’호는 아시아 최초로 석유 대신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사용한 선박으로 대형 조선소의 혁신 기술이 반영된 관공선을 소형 조선소에서 건조한 협력 모델이다.
최근 동시에 위기를 맞은 국내 해운·조선산업이 다시 성장하기 위해서는 최신 선박을 계속 건조하고 수익을 내야 한다. 그동안 한국 업계는 선박에 대한 연구와 기술개발이 부족했다. 기술이 퇴보할수록 해상 운송과 선박 수주 경쟁력이 악화하는 퇴행적 순환이 시작된다.
정부는 첨단기술을 갖춘 관공선을 꾸준히 발주해 효과적인 방법으로 업계를 도울 수 있다. 안전과 환경·효율성을 위해 최신 정보통신기술(ICT) 등을 접목한 관공선은 향후 해운·조선업 상생의 기틀을 닦을 주춧돌이 될 것이다. 김우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본부장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