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1월 8일(현지시간) 진행되는 미국 대통령선거가 얼마 남지 않았다. 먼 나라 이야기로 치부할 수도 있지만 누가 미국 대통령이 되느냐에 따라 세계 금융시장의 흐름이 달라지기 때문에 신경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다.
미국 대통령은 주별 선거인단을 통해 간접선거 방식으로 선출한다. 한 표라도 더 많이 얻으면 특정 주(州)의 선거인단을 독차지하는 승자 독식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총 선거인단 수는 538명이며 이 가운데 270명을 확보한 후보가 승리하게 된다.
여전히 미국 주식시장은 상승세를 타고 있다.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당선될 것이라는 낙관론이 널리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현재 여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산출한 선거인단 예상 확보 수를 보면 힐러리 후보는 이미 239명 차지해 31명만 더 붙잡으면 대통령에 당선된다.
물론 클린턴 후보에 대한 낙관론은 시간이 흐르면서 약화할 가능성이 높다. 여론조사의 추이를 보면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의 지원에도 힐러리의 지지율은 지난 3월 고점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힐러리 또한 확장성이 크지 않다는 의미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후보는 공화당 주류의 주장을 일부 수용하면서 힐러리 후보와의 격차를 빠르게 좁혀 나가고 있다.
2명의 후보는 오는 26일(현지시간) 첫 번째 TV 토론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선거전에 돌입한다. 미국 대선 레이스는 이제부터가 진검 승부라고 볼 수 있다.
미국 대선은 아직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있다. 지지율 격차가 좁혀지고 박빙의 승부가 연출된다면 금융시장의 긴장도 높아질 것이다. 과거 대선 때 나타난 통계를 투자자들이 살펴볼 필요가 있다. 1980년 이후 재선 대통령의 집권 이후 치러지는 대선에서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의 하락이 반복됐기 때문이다. 통계적으로 특정 정당이 3번 연속 집권하는 사례가 많지 않아 정권교체에 따른 불확실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민주당은 1940년대 이후 3번 연속 집권한 적이 없어서 힐러리 대세론이 약화되면 대선이 임박해 정권교체에 대한 불확실성이 훨씬 커질 수 있다.
미국 대선 이후 주식시장 패러다임 변화에도 주목해야 한다. 미국은 어떤 대통령이 집권하느냐에 따라 업종별 초과수익 확률이 확연하게 차별화된다. 민주당 집권 때는 정보기술(IT)·바이오·헬스케어 등 혁신 산업의 수익률이 월등히 높았다. 반면 공화당 집권시기에는 에너지·소매 등 경기 관련주의 초과 수익이 높게 나타났다. 민주당은 기술혁신에 의한 성장을 중시하고 공화당은 에너지 기반의 양적 성장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으로 보인다.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누가 당선되느냐보다 집권당의 구체적인 경제 정책에 관심을 두고 금융시장의 변화에 미리 준비할 필요가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