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이나 조류인플루엔자(AI)에 걸린 가축을 매몰하는 대신 소각해 퇴비로 활용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9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상황실에서 열린 ‘구제역·AI 방역대책 추진상황 점검회의’에서 “가축을 매몰할 경우 2~3년 후 또다시 재처리해야 하는 비용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대안을 생각해봐야 한다”며 “앞으로는 구제역과 AI에 감염된 가축을 소각해 처분하는 방식을 병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과거에는 한 번에 감염 가축이 대량으로 발생해 소각이 현실적으로 어려웠지만, 백신 접종 등으로 구제역과 AI에 걸리는 가축의 수가 현저하게 줄어 소각해 처리하는 방법이 환경적으로도 덜 해롭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우선 국비와 지방비 4억 원가량을 투입해 내년 ‘살처분 가축 이동식 열처리 장비’ 2대를 건조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해당 장비는 구제역 및 AI가 발생한 현장으로 이동해 감염된 가축을 섭씨 170도 이상에서 8시간 이상 태운 뒤 사체를 분쇄·건조한다. 소와 돼지는 한 번에 10~20마리씩, 닭과 오리는 2,000마리가량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가동 후 발생하는 잔재물은 농가 퇴비업체를 거쳐 재활용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가축 매몰지에서 흘러나오는 침출수가 상수원과 지하수, 토양 등을 오염시키는 등의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고 가축 매몰지도 점차 줄여나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농식품부는 구제역 발생 위험시기인 내년 5월까지를 특별방역기간으로 설정하고 언제든 구제역이 발생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사전 방역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과거 발생 지역을 중심으로 백신 접종 및 일제 검사를 시행하고, 구제역 감염항체(NSP)가 검출된 농장은 집중적으로 관리하기로 했다. 또 가상훈련을 통해 초동대응능력도 높인다는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정기적으로 백신 접종을 점검하고 수입산에 의존하고 있는 백신 개발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등 상시 방역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