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쇼핑·롯데케미칼 등 롯데 주요 상장 계열사들은 19일 공시를 통해 “지주사 체제 전환을 검토하기로 결정했다”며 “분할, 합병, 분할합병 등을 비롯한 여러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동빈 롯데 회장은 이에 앞서 지난해 10월 롯데 비리 의혹과 관련해 대국민사과 하면서 “순환출자 해소 등을 통해 롯데 지배구조를 개선하겠다”고 선언했었다. 롯데 관계자는 “주주들에게 지주사 전환을 공식적으로 알린 만큼 관련 작업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롯데의 지주사 전환은 △호텔롯데 상장 △계열 분리 △중간 금융지주사 설립을 동시에 진행하는 ‘트리플 트랙’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사전 정지 작업은 어느 정도 이뤄졌다. 롯데는 지난해 글로벌 컨설팅 업체인 맥킨지에 조직 쇄신 방안을 의뢰해 현재 90여 개에 달하는 계열사를 4개 사업부문(BU·Business Unit)으로 재편하는 방안을 도출해냈다. 설 연휴 즈음에 재편안을 최종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롯데는 사업 내용상 중간 지주사가 관련 업종 계열사를 거느리는 식으로 변신한다. 예를 들어 화학 BU는 롯데케미칼이 롯데정밀화학 등을 자회사로 두는 식이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계열을 분할, 합병하거나 지분을 교환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 계열 분리 작업을 신속히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순환출자 해소도 자연히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롯데카드 등 금융 계열사들은 4개 BU가 아닌 별도의 중간금융지주를 만들어 그 우산 아래 모일 것으로 전망된다. 공정위는 올해 초 중간금융지주사 도입을 다시 한 번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지주사 역할을 맡게 될 호텔롯데의 올해 상장 여부는 아직 불투명하다. 한국거래소는 대표이사가 배임이나 횡령 등으로 유죄 판결을 받을 경우 상장을 3년 동안 제한하는 규정을 두고 있는 탓이다. 만약 신동빈 롯데 회장이 현재 진행 중인 재판에서 유죄판결을 받을 경우 사실상 상장이 어려워지게 된다. 호텔롯데 상장이 이뤄지지 않으면 일본롯데홀딩스에서 한국 롯데로 이어지는 연결고리를 끊기 어렵다는 게 롯데의 고민이다.
재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지주사 전환을 까다롭게 하는 각종 법안이 조기 대선 이후 빠르게 입법 절차를 밟을 수 있다는 것도 롯데의 고려 요인이 됐을 것”이라며 “정치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측면에서도 지주사 전환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서일범기자 squiz@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