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親勞정권 업고 노조 '일방통행'] "회장 바뀔때 복지 더 얻어내자"... 勞 제 밥그릇 챙기기에 급급

■경영권 개입 도넘은 노조

CEO 교체시기 과도한 요구하면서 조직혁신은 '나몰라라'

KB금융노조는 회장 선임 문제에 일반인 참여 '엉터리 설문'

다수 의견 내세워 최고 경영자 압박·퇴진 운동도 버젓이





금융권 노조는 회장 인선 때마다 몽니를 부리며 자기 잇속 챙기기에 바쁘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는다. ‘관치금융’ 논란을 기득권 지키기에 철저하게 이용하는 것이다. 당장 KB금융지주의 차기 회장 선임 절차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고 있는 KB노동조합협의회는 정작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할 설문조사가 엉터리인 것으로 밝혀졌다. 내부 구성원만을 대상으로 해야 하나 일반인조차 참여할 수 있어 신뢰성이 바닥이 돼버렸다. 이러다 보니 금융환경이 급변해도 조직혁신은 뒷전이라는 자성의 목소리마저 내부에서 터져 나온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노조는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KB금융지주 회장 선임 관련 긴급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은 △회장 선임절차가 투명하고 공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윤종규 현 회장의 연임에 찬성하십니까 등 두 가지다. 그런데 서울경제신문의 확인 결과 익명성 보장을 위해 모바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인터넷 주소(URL: https://ko.research.net/r/kbchair)가 유출돼 누구나 참여할 수 있게 돼버렸다.

예를 들어 특정 개인이 가족·친구 같은 지인들과 공유한다면 KB와 관련 없어도 동원될 수 있어 즉흥적인 조작 논란이 불가피하다. 심지어 본지 기자도 참여할 정도로 노조가 문제지적 과정의 절차적 허점을 드러낸 꼴이다. 익명의 한 관계자는 “설문조사라는 게 의도한 대로 답변을 받는 측면이 있는데 외부자까지 하게 된다면 어떻게 결과를 믿을 수 있겠나”라고 꼬집었다. 과거 금융계 노조는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다수의 의견임을 주장하며 최고경영자(CEO)들을 압박해왔다. 이번 역시도 신뢰성이 떨어지는 결과물을 놓고 퇴진운동을 벌일 가능성이 높다.

그 배경에는 CEO 교체 시기를 맞아 노조가 기득권을 쟁취하려는 움직임이 있다고 분석된다. 나아가 문재인 정부 들어 입김이 세진 금융권 노조의 인사경영권을 침해한 요구는 과하다는 비판이 많다. 경영개입 의사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는데 자칫 기업가치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KB노조는 차기 회장 선임 절차를 중단하라고 흔들어대면서 노조 추천 인사의 사외이사 선임 같이 인사권에 개입하고 나섰다. 우리은행 노조도 사외이사를 노조가 추천하는 방안을 요구했다. KEB하나은행 노조는 평소보다 큰 규모의 승진 인사를 단행할 것을 사측에 요청했다.

특히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은 산별교섭을 두고 33개 금융사 사측과 갈등을 벌이고 있다. 지난달까지 세 차례의 교섭자리가 만들어졌으나 파행이 됐다. 금융노조는 조직적 힘을 높이기 위해 산별교섭을 내세우는 상황이다. 금융노조의 주요 요구안은 △사외이사 추천권 부여 △국책공기업 자율교섭 보장 △여성할당제 강화 △성과연봉제 금지 △신입직원 임금 합의제 실시다.



금융노조는 이날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최종구 금융위원장 규탄 및 하영구 은행연합회장 퇴진 결의대회’를 열고 “산별교섭을 거부하는 하영구는 퇴진하라”고 주장했다. 그나마 4일까지 미탈퇴 업체를 포함해 11개사가 산별교섭 대표체인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에 복귀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한국산업은행·중소기업은행 등 성과연봉제 폐기에 앞장섰던 금융 공기업들로 주요 시중은행들은 아직 입장을 표명하지 않고 있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사용자협의회 가입 신청을 하지 않은 사업장 사측 대표를 부당노동행위로 고소·고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카카오뱅크를 비롯한 인터넷 전문은행의 등장과 핀테크, 모바일로 금융환경이 급변하는데다 은행들이 수익의 80% 가까이 예대마진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혁신은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이다. 투자은행(IB) 인력 양성이나 인력전환, 고비용 구조의 점포축소 같은 논의는 쏙 빠져 있어 체질개선이 없다면 공멸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오히려 성과연봉제 폐지뿐 아니라 금융권의 성과지표인 핵심성과지표(KPI)까지 전면 개편하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

오정근 건국대 금융IT학과 특임교수는 “우리나라 금융이 낙후된 가장 큰 원인이 관치금융인데 노조가 낙하산 반대를 넘어 너무 많은 경영개입 주장을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면서 “금융혁신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노조가 개입되면 대한민국 금융은 붕괴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조직혁신은 방관한 채 밥그릇만 챙기려는 움직임이 지나치다 보니 내부에서조차 성찰의 목소리가 들린다. 시중은행의 한 조합원은 “금융권 노조의 기자회견을 보면서 대체 노조가 원하는 게 뭔지, 노조가 원하는 후보가 있는 건가라는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조합원은 “노동조합이 조합원들의 이익이 아닌 본인들의 입신양명을 위해 존재하는 것 같다”며 “일련의 과도한 경영권 개입은 결국 방만한 조직으로 몰고 갈 수 있어 우려가 크다”고 쓴소리를 던졌다./황정원·조권형·이주원기자 garde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