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은행권 개인 해외송금 70%↑ "외국인 모국송금, 카뱅효과"

시중은행의 해외송금 시장 쟁탈전이 치열해지고 있다. 금융당국 규제로 대출장사가 점점 어려워지면서 수수료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해외송금을 새로운 수익원으로 삼고 있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KEB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이 개인 고객의 의뢰를 받아 외국으로 송금한 돈은 지난해 1월 23억5,900만 달러였는데 올해 8월은 40억2,100만 달러로 약 70.5%나 증가했다. 그동안 해외 체류 중인 자녀에게 송금하는 부모가 주 고객이었다면 최근 들어 외국인 노동자들의 모국 송금이 늘면서 시장이 커졌다는 것이 금융권의 분석이다. 이에 더해 국내 2호 인터넷전문은행인 카카오뱅크가 5,000달러까지는 5,000원, 5,000달러 초과 시에는 1만원의 송금수수료만 내면 해외송금을 할 수 있도록 기존의 시중은행 창구보다 훨씬 저렴한 서비스를 개시하면서 개인 고객을 상대로 한 송금 유치 경쟁에 불이 붙었다.

◇5대은행 국외 송금액 변화(단위 : 미화 100만달러)

2016년 1월 2017년 8월 증가액 증가율
개인 2,359 4,021 1,662 70.5%
법인 46,448 49,457 3,009 6.5%
합계 48,807 53,478 4,671 9.6%
자료제공: KB국민·KEB하나·우리·NH농협은행 자료 취합

카카오뱅크 뿐 아니라 타 은행도 각자 수수료인하, 새로운 서비스 도입 등에 나서 신규 고객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해외 송금 시장의 전통적인 강자인 KEB하나은행은 수취인의 은행 계좌번호를 몰라도 휴대전화 번호만 알면 국외 송금이 가능하도록 편리함을 앞세운 ‘원큐 트랜스퍼’(1Q Transfer)를 선보였다. 현재 38개국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송금 수수료도 미국 달러화 환산액 기준으로 500달러까지는 건당 5,000원, 500달러를 넘으면 경우는 건당 7,000원으로 창구보다 저렴하다.

국민은행은 현금자동입출금기(ATM)를 이용해 베트남, 필리핀, 미얀마, 태국,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네팔, 방글라데시, 몽골, 중국, 동티모르, 러시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소재 제휴 은행 계좌에 ATM으로 송금하는 수수료를 건당 5,000원에서 1,000원으로 낮췄다. 또 제휴 은행 계좌로 돈을 받을 때 내야 하는 중계 수수료도 18달러에서 10달러로 낮췄고 송금에 걸리는 시간도 1일 이내로 단축했다.



NH농협은행은 국제 송금 업체인 웨스턴유니온과 손잡고 현금자동입출금기(ATM)를 이용해 24시간 전 세계로 송금할 수 있는 서비스인 ‘NH웨스턴유니온 자동송금’을 최근 도입했다. 창구에서 직원에게 500달러 송금을 의뢰하면 수수료가 26달러인데 NH웨스턴유니온 자동송금을 이용해 ATM으로 송금하면 수수료가 10달러라서 훨씬 저렴하다. 우리은행(000030)은 올해 말까지 인터넷뱅킹과 스마트뱅킹 등 비대면 채널로 해외 송금을 하면 500달러 이하는 2,500원, 500달러 초과 3,000달러 이하면 5,000원으로 송금할 수 있는 해외 송금수수료 우대 이벤트를 지난 7월 시작했다. 500달러 이하의 소액 송금은 카카오뱅크보다 수수료가 싸고 3,000달러까지는 카카오뱅크와 같도록 설정했다.

신한은행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신한S뱅크로 국외 송금할 때의 입력 절차를 최근 16단계에서 6단계로 간소화했다. 또 올해 말까지 신한S뱅크를 이용한 국외 송금 시 미화 3,000달러 이하인 경우 송금수수료를 전액 면제하고 전신 수수료는 기존 8,000원에서 5,000원으로 인하하기로 했다.

법인 고객을 포함한 전체 송금 시장도 성장하고 있어 은행들의 쟁탈전을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5대 은행의 법인 송금은 작년 1월 464억4,800만 달러에서 올해 8월 494억5,700만 달러로 약 6.5% 늘었다. 개인과 법인을 합한 전체 송금액은 같은 기간 488억700만 달러에서 534억7,800만 달러로 약 9.6% 증가했다.

/이주원기자 joowonmai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