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 자체는 특별히 계절적 요인이 있는 질환은 아니다. 하지만 여름에는 냉방으로 인한 실내외 온도 차이와 더위로 인한 피로 누적, 체력 저하 등으로 면역력이 떨어져 상대적으로 다른 계절보다 대상포진이 발병하기 쉽다.
1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대상포진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71만1,442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2년 57만7,157명 대비 약 23%나 증가한 수치다. 대상포진은 어렸을 때 수두를 앓은 뒤 신체에 남아있던 수두바이러스가 몸의 저항력이나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활동을 재개하면서 발병한다. 대개 신경을 따라 바이러스가 발발하면서 피부 발진과 통증을 일으키는데, 옷깃만 스쳐도 발작적인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다.
계절별 진료 인원을 보면 여름에 환자가 늘어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기준 1월에 7만624명이던 대상포진 환자는 8월에 8만9,465명으로 연중 최고치를 찍었다. 한여름 환자가 겨울철 대비 26% 이상 많은 셈이다. 최근 3년간(2015~2017) 통계를 보더라도 매해 8월에 대상포진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 수가 연중 가장 많았다.
특히 상대적으로 면역력이 취약한 중·장년층의 발병이 더 잦은 편이다. 지난해 대상포진으로 진료받은 환자 71만명 중 절반 이상인 44만명(62%)이 50대 이상이었다. 연령별로는 50대가 17만9,376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60대(14만2천260명), 40대(11만5천959명), 70대(8만5천861명) 순이었다.
전문가들은 중·장년층들이 무더운 여름철에는 과로를 피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등 면역력 유지에 더욱 힘써야 한다고 조언한다. 피부 발진 전에 감기 기운이 돌고, 넓은 띠 모양으로 군집을 형성하는 피부 발진과 물집 등이 생기면서 통증을 동반한다면 대상포진을 의심해야 한다. 조기에 항바이러스제 등으로 치료해야만 대상포진 후 신경통과 같은 합병증을 막을 수 있으므로 의심 증상이 있을 때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초기 진단이 어렵고 합병증 위험이 크므로 50세 이상에서는 예방백신을 접종하는 것도 좋다. 백신을 맞아도 대상포진을 100% 막지는 못한다. 다만 백신을 맞은 후 대상포진에 걸리면 백신을 맞지 않았을 때보다 통증이 줄고 신경통 등 합병증 발병 위험이 준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종호기자 phillie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