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 9월8일 미국 국방부 본부 건물에서 12명의 민관 인사가 참여하는 회의가 열렸다. 여기에는 맬컴 R 큐리 국방부 차관과 공군·해군 간부, 매사추세츠공대(MIT) 관계자까지 포함돼 있었다. 주말에 펜타곤에서 회의가 열린 것은 공군과 해군이 따로 추진해온 항법 시스템을 통합하기 위해서였다. 공군과 해군이 각각의 시스템을 고집하자 큐리 차관이 결단을 내렸다. 해군의 타이메이션을 미군의 항법 시스템으로 결정하고 ‘내브스타(NAVSTAR)-GPS’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것이 위성위치확인 시스템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의 시초다. 이를 토대로 1978년 처음으로 GPS위성이 발사됐고 1993년 말 24개 위성이 작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됐다.
군사용으로 개발된 GPS 기술이 민간에서 쓰이게 된 계기는 1983년 옛소련 영공에서 일어난 대한항공 여객기 격침사건이다. 로널드 레이건 미 대통령이 민간에 무료개방을 지시한 후 항공기·자동차·선박의 내비게이션 장치는 물론이고 스마트폰에까지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문제는 전쟁 같은 상황이 벌어지면 미국이 언제든 GPS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이 바로 각국이 위치와 방향·시간에 대한 정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PNT(position, navigation, timing) 시스템’ 구축을 서두르는 이유다. 러시아는 2009년부터 ‘글로나스(GLONASS)’라는 상용 서비스가 가능한 수준에 도달했고 유럽연합(EU)은 2019년까지 30개의 위성을 쏘아 올려 ‘갈릴레오’ 프로젝트를 완성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2000년부터 ‘베이더우(北斗)’라는 GPS 구축을 추진해온 중국은 25일 항법위성 2개를 추가로 발사해 모두 12기의 위성을 우주궤도에 올려놓는 데 성공했다.
미국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받고 있는 우리나라도 2035년까지 독자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3월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구축추진단도 출범했다. 관건은 지속적인 투자다. 최근 양극화 등으로 복지 부문에 투입되는 돈이 늘어나면서 과학기술 쪽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한 측면도 있다. GPS 기술은 안보와 4차 산업혁명 대응 등에 꼭 필요한 만큼 정부가 이 부문에 관심을 더 가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오철수 논설실장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