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시그널] ① SK·한화·CJ 인수후보 거론…항공산업 특성상 PEF 단독 인수는 힘들듯

■아시아나 결국 M&A시장으로...3가지 관전포인트

②SI+FI 컨소시엄 구성 관건

정상화에 3조 이상 필요…대기업·사모펀드 합종연횡 예고

③매각 속전속결 가능할까

4년간 촘촘한 상환계획·항공규제 등에 협상 지연될수도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아시아나항공을 매각하기로 결정한 15일 서울 강서구 오쇠동 아시아나항공 본사에서 직원들이 무덤덤한 표정으로 지나가고 있다. /이호재기자


금호그룹이 15일 아시아나항공(020560)을 매각한다고 발표하자 투자은행(IB)업계는 기다렸다는 듯 인수금융부터 재무적투자자(FI) 참여 등의 가능성을 타진하며 발 빠르게 움직였다. IB업계의 한 관계자는 “금호그룹은 회계처리 논란에서 빚어진 시장의 불신을 씻어내지 못하고 결국 그룹의 사실상 전부를 내놓게 됐다”면서 “규모와 효과를 고려하면 아시아나 매각은 올해의 딜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자연스럽게 관심은 유력 인수 후보군에 쏠렸다. 박삼구 금호그룹 회장이 먼저 매각 의사를 공식화한 만큼 인수 후보로 꼽히는 대기업들의 참여 부담은 덜었다는 평가도 나오지만 재계에서 동업자 의식에 ‘주력산업은 건들지 않는다’는 불문율 탓에 대기업 참여가 현실화할지는 두고 봐야 할 대목이다. 아시아나항공이 우여곡절 끝에 매물로 나왔지만 앞으로도 변수가 많다는 얘기다.





①막대한 인수자금 감당할 대기업은 누굴까
=대기업의 참여 가능성은 반반이다. 대기업을 빼고는 마땅한 인수주체가 없다는 점에서 SK그룹·한화그룹·CJ그룹 등은 시장에서 유력하게 거론하는 후보군이다.

SK그룹은 지난해 최규남 전 제주항공 대표를 SK수펙스추구협의회 글로벌 사업개발 담당 부사장으로 임명한 뒤 인수 검토설이 나왔다. 한화는 저비용항공사(LCC) 에어로케이 투자에 나서면서 항공업에 진출했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항공엔진을 제작한다. CJ그룹은 물류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아시아나가 필요하다. 2012년 금호그룹에서 대한통운을 인수한 뒤 늘어나는 항공 물류 수요에 발맞추려면 아시아나가 필요하다는 근거를 댄다.

신세계(004170)와 롯데도 잠재 후보군이다. 신세계는 아시아나가 가진 부동산 자산에 관심이 많고 롯데그룹은 물류 확대는 물론 금호그룹이 백기사로 검토할 정도로 우호적이다.



다만 SK는 △에너지 △차량공유 서비스 △바이오·제약 △반도체 등 소재 사업 분야를 핵심축으로 투자를 강화하고 있어 항공 분야 투자 결정이 쉽지 않다. 한화 역시 과거 추진한 LCC 투자 자체가 무산된데다, 이보다 더 리스크가 있는 대형항공사 투자가 어렵다. CJ는 최근 조 단위 인수를 연이어 추진하면서 재무조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런 탓에 SK와 한화는 “전혀 인수를 검토한 적 없다”고 선을 그었다.

②“성사 땐 올해의 딜”…대기업·사모펀드(PEF) 결합이 관건=금호그룹은 아시아나 지분과 함께 자회사까지 매각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에 인수에 필요한 자금은 1조원이 훌쩍 넘는다. 이뿐 아니다. 차입금과 미래의 수익을 현재의 빚으로 당긴 유동화 자산도 2조5,000억원을 웃돈다. 대기업 혼자 나서기보다 대형 사모펀드(PEF) 등 재무적 우군과 손잡을 가능성을 높게 보는 근거다. 물론 항공업의 특수성 탓에 PEF 혼자서 참여할 수도 없고 전략적투자자(SI)가 없는 FI의 독자적 행보 역시 어렵다. 더욱이 국내의 대형 PEF 운용사는 이미 아시아나 위기설 당시부터 인수를 염두에 두고 검토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MBK파트너스는 막대한 자본조달이 가능하고 IMM프라이빗에쿼티(PE)는 국내 최초로 항공이 리스금융사를 설립해 항공사에 대한 이해가 밝다. 한앤컴퍼니는 대기업발 구조조정 매물 인수에 강점을 보여왔다. IB업계 관계자는 “일부 PEF는 해외 자본으로 구성한 펀드를 운용하고 있어 대주주적격심사를 통과해야 하는 등 항공산업의 특성이 장애물이 될 수 있다”면서 “대기업과 PEF의 결합에 따라 인수의 성패가 갈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③“즉시 팔겠다” 했지만…장벽 많아 속전속결 쉽지 않을 듯=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이날 “순조롭게 진행이 된다 하더라도 여러 달 걸릴 것이고 시장의 상황에 따라서 가변적인 부분도 있다”고 말했다. 금호그룹도 아시아나 지분 33.47%를 매각한다고만 밝혔을 뿐 세부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매각 주도권 역시 금호그룹과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으로 갈려 있고 구조조정 기업이면서 규제산업인 만큼 정부도 관여한다. 매각을 선호하는 금융위와 실제 항공업을 규제하는 국토교통부 간 온도 차 역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동시에 매각일정이 길어지면 선거와 맞물린 정치권도 훈수를 둘 수 있다.



비교적 매각 구조가 간단한 금호타이어 매각도 상당한 마찰 끝에 마무리됐다. 아시아나는 다르다. 실사를 해봐야겠지만 지적 재산권 등이 훨씬 복잡하게 분산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아시아나의 차입금 상환 계획을 보면 4년간 촘촘하게 분산돼 있다. 인수자 입장에서는 한 번에 큰돈을 투입해 안정되는 구조가 아니다. 아시아나는 당장 25일 600억원 상환을 시작으로 올해 갚아야 할 돈은 1조2,240억원이다. 수천억원에 이르는 ‘상환폭탄’이 1년에 몇 차례씩 반복된다. FI의 참여 조건을 두고서도 SI와의 협상이 길어질 수 있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임세원·조윤희·양철민기자 wh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관련태그
#아시아나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