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한국인 특성 반영한 정밀의료 가능...개인정보 보안 대책·법개정은 과제

[바이오헬스 국가비전 선포] 첫발 뗀 '바이오 빅데이터'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충북 청주시 오송 CV센터에서 열린 바이오헬스 국가비전 선포식에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국민 100만명의 유전체 정보를 수집하는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히면서 의료 빅데이터 시장에도 대대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당장 개별 환자의 특성을 반영한 정밀의료 서비스와 맞춤형 신약개발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개인정보 유출 등 넘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은 오는 2029년까지 환자 40만명과 일반인 60만명을 포함해 100만명의 유전체 정보를 확보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유전체 정보는 희망자에 한해 수집되며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에 보관된다. 보건복지부는 내년부터 1단계 사업에 돌입해 2021년까지 2만명의 유전체 빅데이터를 우선 확보할 계획이다.

유전체 빅데이터를 활용하면 개인마다 다른 질병의 원인과 치료 방법을 찾을 수 있다. 특정 의약품이 잘 듣지 않는 환자를 따로 구분해 맞춤형 치료를 할 수 있고 희귀·난치성 질환이나 한국인이 유독 많이 걸리는 질환에 최적화된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간 국내 기업들은 세계 최고 수준의 유전체 분석 기술을 갖추고도 한국인 빅데이터를 구하지 못해 해외 유전체 빅데이터에 의존해야 했다.



한국인 유전체 빅데이터는 국내 기업들의 신약개발을 앞당기는 기폭제로도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약 후보물질 발굴과 임상시험 진행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아낄 수 있고 상업화 전 단계의 기술수출도 훨씬 쉬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임인택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는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의 성장을 획기적으로 앞당기는 고속도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정선 마크로젠 회장은 “선진국이 일찌감치 국가 차원의 유전체 빅데이터 구축에 돌입했다는 점에서 한국은 다소 늦은 감이 있다”며 “정부와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로 조기에 빅데이터 구축 사업을 완료해 한국이 세계적인 바이오헬스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개인정보 유출 등 정보보안에 얼마나 잘 대처하느냐가 관건이다. 정부는 철저히 익명화된 정보만 보관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시민단체들은 벌써부터 해킹 등 개인정보 유출을 우려하고 있다. 희망자들에 한해 자발적으로 빅데이터를 수집해서는 당초 목표했던 인원을 제때 채우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헌혈 사업처럼 국민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유인책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의료법과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등 향후 입법을 둘러싼 진통도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재헌 의료민영화저지범국민운동본부 공동상황실장은 “정부 취지에는 일단 공감하지만 국민의 민감한 의료정보가 외부에 유출되지 않도록 철저한 보안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우선”이라며 “무엇보다 의료정보가 민간 기업이 영리를 추구하는 수단으로 전락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지성기자 engin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