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봉쇄조치로 주요 경제국들의 단기 국내총생산(GDP)이 급감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7일(현지시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봉쇄조치가 계속될 경우 주요 국가의 단기 GDP 중 3분의1가량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봉쇄조치가 한 달 연장될 때마다 연간 GDP 성장률이 2%포인트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관광업계는 최대 70%까지 감소하며 폐업의 영향으로 선진국과 신흥국에서는 생산량이 15% 이상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앙헬 구리아(사진) OECD 총장은 “이는 피할 수 없는 일”이라며 “우리는 팬더믹(세계적 대유행)에 맞서 싸우면서 동시에 가능한 한 빨리 경제를 정상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해 더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요 경제 관련 국제기구들도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불황을 속속 인정하고 있다. 이날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코로나19로 세계 경제가 침체에 접어들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2009년만큼 나쁘거나 더 나쁜 경기불황에 진입한 것은 분명하다”며 “이는 매우 큰 위기이고 거대한 규모의 자원 배치 없이는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호베르투 아제베두 세계무역기구(WTO) 사무총장도 지난 25일 코로나19로 경기침체와 실업이 지난 금융위기 때보다 심각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면서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그는 “이 팬데믹은 경제에 필연적으로 엄청난 충격을 줄 것”이라며 세계 무역도 급격히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회 의장도 26일 NBC방송에 출연해 현재 경제가 “아마도 경기침체일 수 있다”며 2·4분기 경제활동이 상당히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모건스탠리는 이미 미국의 1·4~2·4분기 성장률이 각각 2.4%, 30%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 상태다.
불황이 낳은 실업대란이 소득감소로 이어져 부채비율을 악화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국제금융협회(IIF)는 보고서에서 “전 세계 가계부채가 GDP의 60%인 47조달러(약 5경734조원)를 넘어선 상황에서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한 일자리 감소와 근로시간 단축은 가계의 지불 능력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며 “장기간 실업률이 오르는 상황에서 ‘V자형’ 반등에 실패한다면 많은 저소득 가구들의 부채 부담이 지속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연하기자 yeon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