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MEC는 ‘무선 데이터 전송 지름길’로 5G 핵심 기술이다. 기지국에 소규모 데이터 센터를 설치해 이용자의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가까운 곳에서 처리,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줄인다.
MEC 컨소시엄은 MEC 관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등을 패키지로 묶어 원하는 통신사에 제공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소프트웨어를, HPE는 하드웨어 등 인프라 제공과 현지 영업, 유지 보수를 담당한다.
컨소시엄은 동남아시아 시장부터 공략할 계획이다. 말레이시아, 태국의 이동통신사와 MEC 패키지 공급 계약에 대한 세부 협의를 진행 중이다.
앞으로 SK텔레콤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북미와 유럽 소재 통신사에 수출을 추진한다.
SK텔레콤은 MEC 기술 수출을 통해 글로벌 표준의 핵심인 범용성을 확보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SK텔레콤 관계자는 “다양한 국가의 통신사에서 MEC 기술 협력 요청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SKT MEC 기술을 중심으로 글로벌 표준이 구성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MEC 기술 개발과 사업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자체 개발한 MEC 솔루션을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서비스에 접목했다. 또한,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등과 협력해 MEC 기반 클라우드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서로 다른 MEC 기술을 연동하는 ‘MEC 연동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고, 해외 주요 통신사와 시범 테스트를 준비하고 있다. 이를 계기로 글로벌 통신사와 협업해 5G MEC 서비스를 발굴하고 서비스 생태계 조성에 나설 계획이다.
하형일 SK텔레콤 코퍼레이트2센터장은 “실감형 콘텐츠, 클라우드 게임 등 국내 콘텐츠의 해외 진출을 촉진하고, 5G 산업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생태계 형성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김윤 SK텔레콤 CTO는 “ 앞으로도 선제적 기술 개발 역량과 5G 서비스 상용화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5G MEC 생태계 확장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나린다 카푸어 HPE APAC 대표는 “이번 협력으로 아시아 통신사들이 다양한 MEC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는 생태계가 구성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혁신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전했다.
/김성태기자 k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