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단독 인터뷰]정영훈 K2 회장 "좌표 확실한 브랜드만 생존...4계절 수요 다 잡았죠"

아웃도어 업계 매출 곤두박질 칠때

'기능성' 앞세워 올 상반기 5% 성장

아이더-등산·다이나핏-런닝·요가 등

전 시즌 스포츠 포트폴리오 갖춰

Z세대 겨냥 스트리트 패션도 출격





블랙 맨투맨 스웻 셔츠에 워싱 처리된 방수 소재 트랙팬츠, 블랙 아이더 어글리 슈즈로 시크한 멋을 뿜어낸 40대 초반 꽃중년의 모습이었다. 2003년 토종 아웃도어 K2코리아의 경영을 맡아 국내 톱 클래스 패션 회사로 키워낸 정영훈(사진) 회장. 그가 젊어졌다. 올 가을부터 새로 선보인 K2코리아의 신규 브랜드 스트리트 패션 ‘NSAD’를 무심히 걸쳤을 뿐인데 족히 10살은 영해 보였다.

성수동 시대를 접고 2019년 강남구 자곡동 시대를 연 정 회장을 신사옥 그의 집무실에서 만났다. 1,000억원 규모를 투자한 흙회색 10층 짜리 대형 건물 10층에 둥지를 튼 집무실은 통유리를 통해 푸른 숲을 고스란히 머금고 있었다. 일주일에 2~3번씩 산을 탄다는 그가 이 곳을 선택한 이유다.

2000년 420억원의 매출로 시작한 K2코리아는 2014년 1조원을 처음 돌파 후 지난해 극심한 불경기에도 9,782억원을 기록, 국내 패션업계의 큰 버팀목이 됐다. 상반기 코로나19로 아웃도어 패션이 40% 이상 매출이 곤두박질 칠 때 아웃도어 브랜드 중 가장 잘 버틴 곳도 K2코리아다. 특히 브랜드 K2의 경우 코로나와 경기 침체에도 불구 전년 대비 5% 성장한 1,400억을 기록했다. 그 이유를 정 회장은 “스포츠 브랜드는 무조건 기능이었다. 결국 좌표를 잘 찍은 브랜드만 살아 남을 수 있다”고 조심스럽게 분석한다.

“정보도 많고 브랜드도 많은 브랜드 홍수 시대입니다. 모든 브랜드를 입어 보기도 신어 보기도 어렵죠. 결국 브랜드를 ‘찍고’ 오는 경향이 강화될 겁니다. 즉 이제는 정확한 ‘좌표 브랜드’가 되어야 합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확실한, 포지셔닝이 확실한 브랜드만 생존할 수 있겠죠.” 코로나19라는 엄혹한 상황을 거치며 그가 확인한 아웃도어 브랜드의 생존 전략이다.



실제 아웃도어 패션이 산에서 도심으로 내려오는 동안에도 K2는 “아웃도어는, 스포츠는 무조건 기능”이라며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고수했다. 그 사이 삼성물산 패션은 ‘빈폴아웃도어’를 포기했고, 디스커버리와 내셔날지오그래픽은 아웃도어라는 이름을 달고는 있지만 사실상 캐주얼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갈아 탄 상태다. 그러다 다시 코로나19가 닥치며 ‘아재 취미’였던 등산이 20~30대 젊은 여성들로 옮겨 붙으며 다시 아웃도어 의류가 주목받고 있다.

정 회장은 “K2코리아의 무기는 독보적인 기술과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라인업(포트폴리오)”이라고 꼽는다. “한국의 4계절을 골고루 누릴 수 있는 스포츠는 등산, 자전거, 런닝, 골프 잖아요. 우리는 K2·아이더(등산·아웃도어), 다이나핏(자전거·런닝·요가 등 도심 스포츠), 골프계 메가 브랜드 와이드앵글 등 한국에 적합한 포트폴리오를 모두 갖추고 있는 셈입니다.” 사실 와이드앵글은 코로나19 수혜 브랜드다. 그는 “요즘 ‘명랑 골프’가 트렌드 아니냐”며 “유쾌하고 영하고 유니크한 브랜드의 콘셉트가 잘 맞아 떨어졌다”고 귀띔했다.

정 회장은 가을 시즌 10~20대 젊은 감성을 공략하는 고감도 스트리트 패션 브랜드 ‘NSAD’로 또 새로운 도전에 나선다. No strings attached. ‘얽매이지 않는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자동차 창고와 공구를 모티브로 한 테크 감성으로 엣지와 디테일을 보다 강조했다. MZ세대가 선호하는 ‘어콜드월’이나 ‘스톤헨지’의 느낌이 사뭇난다. “젊은 층이 스트리트 패션을 왜 입을까 의아했었죠. 시도해 보니 편하더군요. 옷으로부터 몸, 곧 정신이 해방되니 사고가 자유로워지는 것을 느꼈어요. 진정 영혼이 지향하는 바를 추구할 수 있게 되겠구나 싶더라고요.”

브랜드 K2는 또 독자 개발한 ‘씬 에어(thin air)’ 소재의 깃털처럼 가벼운 패딩으로 올 겨울 출격 채비를 마쳤다. 프리미엄 이태리 패딩 ‘에르노’ 의 한국판 같은 느낌이다. 정 회장은 “짧게 왔다 가는 트렌드에 부화뇌동하면 안된다”며 “기술이나 디자인면에서 정확한 좌표에 근거한 브랜딩을 통해 지금의 위기를 헤쳐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심희정 라이프스타일 전문기자 yvett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