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통장에 노는 돈 있네요. 예금이라도 드세요” 내 손안의 금융비서 개막

■마이데이터 내달 본격 시행

하나의 앱으로 모든 금융업무 가능

車 번호만 적으면 맞춤 보험 알림

대출비교에 서학개미 세무상담도

전통금융사 ‘플랫폼 차별화’ 사활

이종산업간 데이터 동맹도 활발





# 직장인 A 씨는 휴대폰 앱만으로 종합 자산 관리 서비스를 받는다. 지금까지 자산 관리를 받으려면 재산이 수십억 원은 되고 직접 은행 프라이빗뱅킹(PB)센터를 방문해 수수료를 내고 상담을 받아야 했지만 마이데이터가 출범하면서 180도 달라졌다. 앱에서 자신의 부동산과 금융자산, 자동차 시세, 대출 규모, 신용카드 사용 내역을 종합해서 볼 수 있고 자신의 재산 목표를 설정하면 이에 도달하는 최적의 경로도 추천해준다.

성향 분석·추천…금융서비스 무궁무진
이 같은 사례는 다음달 마이데이터가 본격 시행되면서 나타날 수 있는 우리 실생활의 변화다. 개인은 마이데이터 사업자를 통해 금융사, 통신사, 전자 상거래 업체 등에 자신의 신용 정보를 요구할 수 있고 마이데이터 사업자는 이를 기반으로 최적의 금융 상품을 추천해준다. 그동안 PB 서비스, 은행 자산 관리(WM)는 상위 1% 고액 자산가의 전유물이었다. 하지만 앞으로 은행은 물론 빅테크(네이버·카카오), 핀테크 등 마이데이터 사업자의 앱을 통해 상위 1%가 아닌 ‘99%를 위한 내 손안의 비서’ 시대가 열리게 된다. 그동안은 고객이 금융을 찾아가야 했지만 앞으로는 금융이 고객을 찾아오는 시대도 개막한다.

마이데이터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새로운 금융 서비스는 무궁무진하다. 당장은 휴대폰에 난립하는 금융사 앱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마음에 드는 마이데이터 사업자 앱만 깔면 이를 통해 전체 은행 계좌 내역과 대출 규모, 가입한 보험 및 펀드 등 금융 상품 현황, 카드값, 자산 내역 등을 한 화면에서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각각의 앱에 따로 들어가 카드값과 유망한 펀드를 확인하는 번거로움도 줄어들게 된다. 이후 대출이자 납부일, 카드 대금 결제일 등의 알림도 받을 수 있다.

맞춤형 금융 상품 추천도 해준다. 예를 들어 고객의 소비 패턴, 계좌 잔액 등을 종합 분석해 통장의 지난 6개월간 평균 잔액을 기반으로 이의 일정 부분은 정기예금에 예치하면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다고 추천해주는 식이다. 아울러 비슷한 신용도의 사람과 고객이 내는 이자를 비교한 후 고객을 대신해 금융사에 금리인하요구권을 대리 신청해 이자 부담을 줄일 수도 있다. 인터넷으로 자동차 보험에 들려면 차량정보부터 수많은 옵션까지 선택의 연속이지만 앞으로는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차량번호만 입력하면 마이데이터 사업자가 수집된 정보와 금융상품을 결합해 최적의 상품을 추천해 줄 수 있다.



부동산·금융 연결 등 ‘차별화’ 가열
이에 따라 금융사들은 ‘금융 플랫폼’으로 거듭나기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 하나의 앱만 있으면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대가 예고된 가운데 고객에게 외면받는 금융사는 유력 플랫폼 기업에 금융 상품만 제공하는 곳으로 전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KB금융은 ‘KB마이머니’ 앱을 지난 2016년 9월부터 운영하고 있다. 최초의 개인종합자산관리(PFM) 서비스로 개인의 자산·부채를 토대로 맞춤형 펀드나 예적금을 추천해주고 알맞은 보험 상품도 제시해준다. 신한은행은 국내 1세대 빅데이터 전문가로 알려진 김혜주 전 KT 상무와 김준환 전 SK C&C 상무를, 농협은행은 이상래 전 삼성SDS 상무를 디지털금융부문장으로 채용하는 등 인재 채용을 통해 관련 사업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네이버파이낸셜은 부동산과 금융을 연결하는 서비스도 개발 중이다. 고객의 소득 등을 토대로 최적의 부동산 매물을 추천해주고 고객이 신혼부부라면 정부 지원 프로그램과 은행의 대출 상품을 비교해 최적의 금융 솔루션도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또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사람을 위해서는 알아서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기간을 고객에게 알려주고 지식인 엑스퍼트(eXpert)를 통해 전문 세무사로부터 세무 상담을 받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통신·유통 데이터 공유 상품 개발도
고객 개개인의 자산 관리를 얼마나 잘해줄 수 있느냐는 얼마나 데이터를 많이 확보하고, 이를 잘 활용하느냐에 달려 있다. 이에 따라 금융사와 이종 산업 간 데이터 확보 경쟁도 치열한 상황이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11월 CJ올리브네트웍스·LG유플러스와 ‘마이데이터 공동 프로젝트’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우리금융은 KT와 손잡고 2,000만 개에 달하는 금융과 통신 데이터를 결합하기로 했다. 현대카드는 상업자 표시 신용카드(PLCC) 사업 파트너인 이마트·현대자동차·코스트코·대한항공·스타벅스·배달의민족 등 12개사 고객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 플랫폼을 만들었다. 신한카드도 SK텔레콤·GS리테일·홈플러스와 잇따라 데이터 사업 협약을 맺었다.

마이데이터 사업으로 금융권의 지각변동은 불가피하다. 일단 전통 금융사는 네이버 등 거대 플랫폼에 고객을 빼앗길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플랫폼 사업자는 갖고 있는 방대한 고객 생활 정보에 금융 정보까지 결합해 정교한 맞춤형 금융 상품 추천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정호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한 번 이탈한 고객을 다시 유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통 금융사는 모바일 앱 메뉴 및 프로세스 단순화 등 고객 의견을 즉시 반영하는 조직 문화를 정착시켜야 할 것”이라며 “오프라인 중심으로 제공한 PB나 기업금융 서비스를 온라인에서도 제공하는 등의 차별화된 서비스 개발에도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