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필사의 탈출’로 아프간 카불공항 아수라장…“최소 5명 사망”

활주로 몰려들고 여객기 탑승 계단에 매달리기도

통제 불능 상태에 미군 발포…SNS 게시물 잇따라

탈레반 정권 재장악에 카불 주민 ‘공황 상태’





아프간 카불 국제공항 활주로에 시민들이 들어와 있다./트위터 @Khan_Ha55an


이슬람 무장단체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 정권을 재장악하자 수도 카불 공항은 필사의 탈출을 위해 몰려든 수많은 인파로 순식간에 아수라장이 됐다. 수천 명의 시민들이 한꺼번에 활주로로 몰려들고 이들을 해산하려고 미군이 발포하면서 일부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는 등 급박한 상황이 이어졌다.

16일 톨로뉴스와 외신들에 따르면 예상 밖의 빠른 속도로 친미 성향 아프간 정부가 붕괴하고 탈레반이 정권을 장악하자 카불 시민들은 크게 동요하고 있다. 이날 날이 밝기도 전에 수천 명의 시민이 아프간을 탈출하기 위해 공항으로 몰려들었다.

트위터 등 SNS에 올라온 동영상에는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으로 끝도 없이 많은 시민이 뛰는 모습이 담겼다. ‘탕, 탕’하는 총성이 산발적으로 들리는 가운데 아이를 업거나 안은 시민들이 비명을 지르며 앞으로 내달린다. 게시물 작성자는 “시민들이 패닉(공포)에 빠져 공항을 향해 달려가고 미군이 총을 발사했다. 이런 모습을 보는 게 정말 슬프다”고 적었다.

또 다른 동영상에는 기관총을 난사하는 소리와 함께 시민들이 공항을 향해 달려가는 모습이 담겼다. 시간이 지날수록 공항에는 더 많은 인파가 몰렸다. 시민들이 활주로를 장악하고 문이 열린 여객기 안으로 밀고 들어가는 모습도 목격됐다. 어떻게든 여객기에 타려고 탑승 계단에 거꾸로 매달린 시민들의 절박한 모습도 보였다.

밀려든 인파로 도저히 여객기가 뜰 수 없게 되자 공항 당국은 모든 민항기의 운항이 중단됐다고 이날 오후 발표했다. 아울러 아프간 항공 당국은 카불 영공 통제가 군에 넘어갔다며 항공기 노선 변경을 권고했고, 이미 유나이티드항공 등 여러 외항사들은 아프간 영공을 피하기 위한 항로 조정에 나섰다.

SNS에는 “미군이 카불 공항에서 질서 유지를 하려고 발포하는 바람에 민간인이 죽었다”는 글과 함께 여성을 포함한 여러 명이 바닥에 피를 흘리며 쓰러져 있는 동영상이 올라왔다./트위터 @sidhant




특히 러시아 스푸트니크 통신은 “미군의 발포로 공항에서 아프간인 여러 명이 사망했다고 보안군 소식통이 전했다”고 보도했다. SNS에는 “미군이 카불 공항에서 질서 유지를 하려고 발포하는 바람에 민간인이 죽었다”는 글과 함께 여성을 포함한 여러 명이 바닥에 피를 흘리며 쓰러져 있는 동영상이 올라왔다.

한 미국 관리는 로이터 통신에 “공항에 몰려든 군중이 통제불능 상태였다. 발포는 혼란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로이터 통신은 “카불 공항에서 최소 5명이 숨졌는데 미군 발포 때문인지 (인파에) 깔려 죽었는지 모르겠다”는 목격자 증언도 전했다. 스푸트니크 통신은 “적어도 3명이 총에 맞아 숨졌다”고 보도했다.

탈레반은 공항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자 “아프간에 머물기로 결심한 사람은 모두 카불 공항에서 집으로 돌아가는 것을 허용한다. 민간인은 해치지 않는다”는 발표를 내놨다. 카불 공항에서의 혼돈을 두고 많은 이들이 1975년 남베트남 패망 직전 당시 ‘사이공 탈출’을 떠올렸다.

카불 시내를 빠져나가는 차량 행렬로 도로 곳곳이 꽉 막혔다./트위터 @MalikMudassir2


카불 시내를 빠져나가는 차량 행렬로 도로 곳곳이 꽉 막힌 영상도 잇따라 올라왔다. 앞서 거점 도시가 탈레반 수중으로 넘어가자 안전한 수도로 도망 왔던 피란민들의 경우 더는 갈 곳이 없다며 자포자기 상태가 됐다.

탈레반은 과거와 달리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이슬람 정부’를 구성하겠고 약속했지만, 과거 탈레반이 통치했던 5년 동안 극단적인 샤리아(이슬람 율법) 적용을 경험했던 시민들은 여전히 공포에 떨고 있다. 탈레반 통치 당시에는 음악, TV 등 오락이 금지됐고 도둑의 손을 자르거나 불륜을 저지른 여성을 돌로 쳐 죽게 하는 가혹한 벌도 허용됐다.

게다가 수도 카불 시민들은 그동안 미군과 국제동맹군, 국제 NGO단체와 협업하거나 외국인들을 상대로 비즈니스를 한 경우가 많아 탈레반이 ‘부역자’라며 자신들을 처단할까 봐 두려워 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