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글로벌체크] 개천절·한글날이 부른 주 4일제 베타테스트? 해외는 이미 현재진행중

[김연하의 글로벌체크]

대체공휴일 적용에 2주간 주 4일 근무효과

아이슬란드·스페인 등 시범 운영 나서 "압도적으로 성공적"

비용 줄고 매출 증가 효과…양성평등 저해 우려도

주 5일제 변화 나타날까 주목

/이미지투데이




개천절과 한글날에 대체공휴일이 적용되면서 내일부터 2주 연속 토~월요일 사흘 간의 연휴가 시작됩니다. 화~금요일 나흘만 근무하게 되면서 일부 누리꾼들은 우스갯소리로 이를 '주 4일제 베타 테스트'라고 부르기도 하는데요.

주 4일제가 아직은 농담으로만 여겨지는 한국과 달리 이미 해외에서는 주 4일 근무제도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몇 해 전 아이슬란드에 이어 올해에도 스페인 등 일부 국가에서 주 4일제·32시간제 시범 운영에 나서고 있죠. 전문가들은 지난 1920~1940년대 도입된 주 5일·40시간제에 변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며, 80여년간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대표적인 근무형태로 작동했던 주 5일제가 달라질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이번 <글로벌체크>에서는 전세계에서 진행되고 있는 주 4일제 움직임을 소개합니다.

근로자 85% 주 4일만 근무하는 아이슬란드

주 4일제에 대해 이야기할 때 빠질 수 없는 국가가 바로 아이슬란드입니다. 아이슬란드는 지난 2015~2019년 병원과 사무실, 유치원 등에 근무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주 4일제를 시범 운영했는데요, 당시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들은 2,500여명으로 아이슬란드 노동인구의 약 1%에 달했습니다. 이들은 기존과 같은 임금을 받으며 이전보다 4~5시간 짧은 35~36시간만 근무했습니다. 이 실험은 "압도적으로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았죠.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실험에 참가한 근로자들은 근무시간 단축으로 인해 스트레스나 번아웃 위험이 줄었으며 건강은 물론 일명 워라밸도 개선됐다고 말했습니다. 가족과 함께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었으며, 취미나 집안일 쏟는 시간도 더욱 늘었다고 덧붙였죠.
영국 싱크탱크 오토노미의 리서치 디렉터인 윌 스트롱은 "이 연구는 공공 분야에서 근무일을 단축하려는 세계 최대의 실험이 모든 면에서 압도적으로 성공적이었음을 보여준다"며 "공공부문이 근무일 단축의 선구자가 될 수 있으며, 다른 정부들도 교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 CNBC방송은 이 실험 이후 현재 아이슬란드 근로자의 약 85%가 주 4일만 근무하고 있거나 그럴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물론 근무시간 단축으로 인한 임금 삭감은 없습니다.

스페인부터 스코틀랜드·뉴질랜드·일본까지


아이슬란드의 실험 이후 여타 국가들도 주 4일제 대열에 합류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곳이 스페인입니다. 워싱턴포스트(WP)와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이는 그동안 긴 근무 시간이 반드시 높은 생산성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고 주장해온 스페인의 좌파 정당인 마스 파이스(Mas Pais)가 이를 주도하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스페인 정부는 지난 3월 앞으로 3년간 200~4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주 32시간제를 시범 운영하겠다고 밝힌 상태입니다. 이 당의 대표인 이니고 에레혼은 한 인터뷰에서 "우리가 마지막으로 근무일을 단축한 지 100년이 흘렀다"며 그간 시간 당 생산성은 늘었지만 여유시간은 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스코틀랜드에서도 주 4일제 시범 도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스코틀랜드의 집권당인 국민당(SNP)가 주도하고 있는데요, 주 4일제에 참여하는 기업에 1,000만파운드를 지원하고 이를 통해 해당 기업 근로자의 근무시간이 줄어도 급여가 줄지 않게 할 계획입니다. 스코틀랜드의 싱크탱크인 공공정책연구소(IPPR)가 시행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3%가 지금보다 근무일수를 줄이는 것을 선호한다고 답했습니다. IPPR의 레이첼 스테이섬 선임연구원은 도이체벨레(DW)에 "스코틀랜드가 '하이 웰빙 경제'로 나아가야 한다는 압력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9월 25일(현지시간) 아이슬란드에서 총선이 열린 가운데 투표소를 찾은 시민들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AP연합뉴스


이 밖에도 덴마크의 오스헤레드시는 지난 2019년부터 내년 9월까지 약 300명의 시 공무원들의 근무시간을 주 4일제로 변경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는 이미 6주간 주 4일제를 시범적으로 시행했는데요, 이 결과 생산성이 20% 증가했다며 저신다 아던 총리가 직접 나서 기업들에게 주 4일제를 검토할 것을 적극적으로 권하기도 했습니다. 주당 평균 근로시간이 34.2시간으로 유럽 내에서 가장 짧은 편에 속하는 독일에서는 최대 노동조합인 IG메탈이 일자리 유지와 해고 감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주 4일제를 요구하고 있다고 합니다.

주 4일제 바람은 아시아에도 불고 있습니다. 바로 일본입니다. 한국처럼 '과로사'라는 뜻의 고유명사 '가로시'라는 단어까지 있을 정도로 긴 근무시간으로 악명 높은 일본에서 주 4일제가 논의되고 있다니, 꽤나 놀라운데요. 지난 6월 일본 정부가 발표한 연간 경제 정책 가이드라인에는 기업들에게 주 4일제를 권고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일본 정부는 이 가이드라인에서 주 4일제를 통해 가족 부양 등의 이유로 퇴사하는 능력 있는 직원들을 기업들이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사실 일본 정부가 주 4일제를 제안한 것은 여가시간 증가로 소비를 늘려 경제 활성화를 끌어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DW는 분석했습니다.



개별 기업 단위에서도 주 4일제 움직임은 나타나고 있는데요, 뉴질랜드의 유니레버는 급여 삭감 없이 근무시간을 줄이는 실험을 시행하고 있으며 소셜벤처 킥스타터는 내년부터 모든 직원이 주 4일만 근무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쉑쉑버거도 지난 2019년부터 주 4일제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매출 늘고 비용은 감소…탄소 배출 감소 효과까지

주 4일제의 효과는 어떨까요. 지난 2019년 일본에서 주 4일제를 실험한 마이크로소프트는 당시 매출이 40%가량 증가한 반면 간접 지출비용은 되레 줄었다고 밝혔습니다. 뉴질랜드의 한 자산 관리 회사도 지난 2018년 급여 삭감 없이 주 32시간제를 시행한 결과 업무에 있어 능률이 24%나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주 4일제는 환경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합니다. 영국의 싱크탱크 오토노미는 영국이 주 4일제를 시행하는 것은 매년 130만대의 자동차를 도로에서 없애는 것과 같은 수준의 탄소 배출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미지투데이



물론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일각에서는 주 4일제로 인해 여성이 육아와 가사 등에 투입하는 시간이 더욱 길어질 것이라고 우려합니다. 유럽의 한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해 재택근무가 확대 시행됐을 당시 여성이 한 주 동안 육아에 투입한 시간은 평균 62시간, 가사에 투입한 시간은 23시간이었던 반면 남성은 각각 36시간과 15시간에 그쳤는데요, 이 같은 상황이 주 4일제 적용시에도 나타날 수 있다는 겁니다. 덴마크 로스킬데 대학의 잔 글레루프 교수는 "여성들은 원래 해야 하는 일 외에 집안일도 떠맡기 때문에 주 4일제가 전통적인 성 역할을 강화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1950년대 언급됐던 주 4일제…변화 나타날까


사실 주 4일제에 대한 도입 논의가 나온 것이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지난 1950년대 리처드 닉슨 당시 미국 부통령은 곧 주 4일제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죠. 당시 생산성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기대가 커졌기 때문입니다. 이보다 앞선 지난 1930년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영국의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생산성 향상 덕분에 100년 안에 사람들이 한 주에 15시간만 근무할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했습니다.

물론 인구가 약 35만명에 불과한 아이슬란드나 일부 지역과 기업의 시범 사례를 전 세계에 바로 적용하는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특히 주 52시간제 도입으로도 부작용을 겪는 한국이나 주 6일간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일하는 일명 '996 문화'를 가진 중국에서 주 4일제는 언감생심으로 느껴지기도 하죠. 해외에서 시행한다고 해서 우리도 이를 그대로 따라야 하는 것도 아닙니다.

다만 여러 국가가 앞다퉈 시범 운영과 실험에 들어간 만큼 우리도 진지한 논의는 해 볼 수 있을 겁니다. 지난 1926년 미국의 포드 자동차가 주 5일제를 채택하자 당시 한 이사회의 의장은 "주 40시간 근무를 요구하는 사람은 이 위대한 나라에서 시민권을 주장하는 것을 부끄러워해야 한다"고 공격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모두가 아는 것처럼 주 5일제는 미국은 물론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표준적인 근무 형태가 됐죠. 약 100년 만에 나타난 주 4일제 논의의 바람이 과연 한국에도 불어올까요.

#글로벌체크를 구독하시면 보다 심도 깊은 국제뉴스를 빨리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