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이하 진상규명위)가 23일 전두환 전 대통령의 사망에 대한 입장문을 내고 "아쉬움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국민에게 사죄할 기회가 있었지만 그렇지 못했다는 취지에서다.
진상규명위는 이날 "전두환 씨는 지난 41년간 피해자와 국민 앞에 진실을 밝히고 사죄할 기회가 있었으나 변명과 부인으로 일관했다"며 "이는 5·18민주화운동 희생자들의 고통을 가중시켜왔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씨를 포함한 내란 및 내란목적살인죄의 핵심 인물들에게 출석요구서를 발송했지만 전두환 씨는 지병을 이유로 거부 의사를 밝혔다"며 "그의 사망에도 법률이 부여한 권한과 책임에 따라 진상규명을 위한 엄정한 조사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진상규명위가 출석요구서를 발송한 주요 책임자는 전 전 대통령, 노태우 전 대통령, 이희성 당시 계엄사령관, 황영시 당시 육군 참모차장, 정호용 당시 특전사령관 등 5명이다.
아울러 진상규명위는 "신군부 핵심 인물들은 더 늦기 전에 국민과 역사 앞에 진실을 고백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국군보안사령관으로 재임하던 1979년 12·12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뒤, 5·18민주화운동을 유혈진압하며 수많은 피해를 낳았다. 그는 같은 해 9월 1일 통일주체국민회의 간접선거를 통해 11대 대통령에 취임했고, 대통령 7년 단임제 및 간선제 선출을 골자로 한 헌법 개정안을 공포한 후 1981년 간접선거로 또 다시 12대 대통령에 당선됐다.
전 전 대통령은 김영삼 전 대통령이 집권하던 1995년 12·12 쿠데타 및 5·18 광주 민주화 운동 탄압 문제로 구속기소됐다. 1996년 1심 재판에서 내란수괴, 내란목적살인죄 등 혐의로 사형을 선고받고 1997년 대법원에서 무기징역이 확정됐다. 하지만 1997년 12월 사면 복권됐다.
전 전 대통령은 노 전 대통령이 아들을 통해 5·18민주화운동 진압에 대해 사과한 것과 달리 끝까지 책임을 인정하지 않아 많은 비판을 받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