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나스닥은 올랐지만 기름값이 불안하다…사우디, 바이든에 '증산' 선물줄까[글로벌주간뉴스]









지난주 뉴욕증시가 오랜만에 웃었습니다. 월간으로도 지난해와 올해를 통틀어 가장 많이 올랐습니다. S&P 500 지수는 최근 거래일인 29일 3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4130.29포인트에 마감했습니다. S&P500의 7월 한 달 변동률은 9.1%로 2020년 11월 이후 월간 기준 최대폭의 상승입니다. 물론 올 들어서는 여전히 13.3% 하락했지만 지난달 말까지 연초대비 하락폭이 -20.6% 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손실폭을 상당히 줄였습니다.

나스닥의 7월 상승은 더욱 가팔랐습니다. 29일 1.88% 오른 1만2390.69로 마감한 나스닥은 지난 한달 상승률이 12.3%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2020년 4월 이후 2년 3개월 만에 최대 상승입니다. 2020년 4월은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충격으로 증시가 폭락한 후 급반등했던 시기라는 점을 고려하면 지난 달, 특히 지난 주의 랠리는 어느 정도 역사적인 수준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다우존스 지수도 7월 6.7% 올랐습니다. S&P500과 마찬가지로 2020년 11월 이후 가장 많이 올랐습니다.

최근 뉴욕 증시의 상승 원인은 크게 두가지 입니다. 첫번째는 실적입니다. 애초 투자자들은 경기 하락 추세를 고려해 주요 기업들의 실적이 상당히 떨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는데요, 물론 기업마다 상황은 다르겠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예상보다 선방이었습니다. 펙트세트에 따르면 S&P 500 지수에 편입된 기업 중 절반이 조금 넘는(56%) 기업이 지금까지 2분기 실적을 발표했는데요, 이 가운데 73%의 기업이 예상치를 웃도는 주당순이익(EPS)을 발표했습니다. 물론 5년 평균은 77%라는 점을 고려하면 낮아졌습니다. 포인트는 '두려움에 떨었던 것을 고려하면 괜찮다'입니다. 시장의 단기 움직임은 대개 절대치보다 예상치에 부합하느냐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만큼 일종의 안도감이 확산됐습니다.

지난주 실적을 발표했던 기업 중 애플은 2분기에 매출이 줄어들 것이란 시장의 예상을 깨고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7% 증가한 830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아마존도 시장 전망치보다 높은 2분기 매출(1212억3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물론 두 기업다 순이익은 떨어졌습니다만, 우려보다 높았습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앞서 "신보다 더 많이 번다"고 분개했던 정유사들은 순이익이 고공행진했습니다. 엑손모빌은 전년 동기(46억9000만달러)보다 4배 가까이 급등한 179억 달러의 순이익을 올렸습니다. 셰브론도 순익이 4배 가까이 급증한 116억 달러를 기록했고, 쉘도 167억 달러였습니다. 이에 힘입어 에너지 관련 ETF도 고공행진 하는 모습입니다.



최근 랠리의 두번째 이유는 27일(현지시간) 있었던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기자회견 때문입니다. 일단 이 회의에서 미국의 기준금리는 기존 1.5~1.75%에서 2.25~2.5%로 0.75%포인트 올라갔는데요, 이런 인상률 자체는 이미 연준의 매파 인사들이 예고를 한 바 있습니다. 아주 큰 폭의 인상이지만 이미 예상했었다는 점에서 크게 시장에 충격을 주지 않았고요.

오히려 투자자들은 이날 FOMC 기자회견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을 듣고 '금리가 더 오르지 않을 수 있겠다' 하는 안도감을 얻은 듯 합니다. 핵심 발언은 바로 이 발언이었습니다.



"As the stance of monetary policy tightens further, it'll become appropriate to slow the pace of increases while we assess how cumulative policy adjustments are affecting the economy and inflation."

"통화정책이 더욱 조여졌습니다. 누적되고 있는 정책 조정이 경제와 인플레이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판단해가면서 금리 인상폭의 증가세를 낮추는 것이 적절할 겁니다."



물론 파월 의장은 앞으로 9월 FOMC 이전에 예정된 지표를 보면서 9월에 0.75%포인트를 또 올릴 수 있다고도 했지만, 가장 기본 전제가 '증가폭을 낮추는 것'이라고 시장이 인식하기에 충분한 발언이었습니다. 실제 지난 주 랠리의 시작은 사실상 이 발언이 나온 7월 27일 오후 2시 30분 께 부터 였습니다. 그리고 27, 28, 29일 3일간의 상승이 7월 전체 상승의 절반을 넘을 정도였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장밋빛 전망을 내놓는 목소리도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월가의 대표적 낙관론자인 펀드스트랫글로벌어드바이저의 톰 리 대표는 "최근 이벤트들은 주가가 바닥에 있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며 "올해 말 새로운 고점을 경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거시 경제 환경 자체가 달라진 게 없어서 조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더 커 보입니다. 웰스 파고의 선임 글로벌 마켓 전략가인 사미어 사마나는 "시장이 성급하게 인플레이션과에 대한 승리 선언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지난 주 흐름은 파월 의장이 내놓은 메시지와는 완전히 동떨어져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지난주 연준 발언 이후에도 중요한 지표가 세 개 정도 나왔습니다. 간략히 짚고만 넘어가겠습니다.



2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입니다. 연율 -0.9%로 1분기 -1.6%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하락입니다. 경기 침체 논란도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월가의 시각으로 보면 GDP가 낮을 수록 연준이 통화 정책을 옥죄기 어려워진다는 의미기 때문에 시장의 랠리는 이어졌습니다.

내용을 뜯어보면 주택 등의 분야에서 연준의 금리 인상 영향도 어느 정도 엿보입니다.



◇재고 : 생산하거나 수입한 상품 중 아직 판매되지 않은 채 남아있는 양인데요, 전체 GDP의 2.01%를 갉아먹었습니다. 단일 구성요소 중 가장 큰 GDP 하락 요인이 었습니다. GDP는 소비자들이 돈을 덜 쓰거나 기업과 정부가 투자를 줄이면 감소하는 구조입니다. 재고가 성장률을 갉아먹었다는 것은 기업들이 이전에 구매해 놓은 상품이 안팔린 채 남아있는 경우가 많아 2분기에는 재고 마련에 덜 투자했다는 의미입니다.

여전히 재고 비축을 위한 투자를 하긴했지만 1분기 때보다 감소했습니다. 뉴욕 타임스는 "재고가 전체 성장을 끌어내렸다"고 평가했다. 기업들이 보복 소비에 대비해 전분기에 재고를 넉넉히 쌓아뒀지만 2분기 들어 가격이 올라 고객들은 소비를 줄이는 것 같습니다.

◇주택 건설 : 전분기 대비 14%가 감소했습니다. 기준 금리 상승을 뛰어넘는 모기지 상승이 이같은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비주택 건설 : 11.7% 감소했습니다. 금리가 상승하면서 공장투자나 창고 건설이 줄었기 때문입니다.

◇연방정부지출 : 3.2 % 감소했습니다. 전략 비축유를 풀고 코로나19 기간동안 확대했던 재정 운용을 줄이면서 입니다.



29일에는 美 고용부에서 2분기 고용 비용(임금+복리 후생비)을 발표했습니다. 전년 대비 5.1% 상승했으며 1분기 4.5% 보다 0.5%포인트 상승했습니다. 2001년 이래 가장 큰 폭 입니다. 인플레이션을 강화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오마 샤리프 인플레이션 인사이트 대표는 "연준 관계자들이 밤에 잠 못들게 하는 수치"라고 말했습니다.

같은날 연준이 정책 결정의 기준으로 삼는 미 상무부의 개인소비지출(PCE)도 발표됐습니다. 전년 동월보다 6.8% 올라 1982년 1월 이후 가장 많이 올랐습니다. 근원 PCE도 4.8% 올랐습니다. 다만 이는 6월 수치라는 점에서 시장의 충격은 덜한 듯 보입니다. 이미 9.1%라는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봤기 때문에 시장이 일종의 예방주사를 맞은 격입니다. 다만 두 지수 보두 연준이 긴축에 박차를 가하는 쪽의 근거 논리가 되기 때문에 추후 지표를 잘 살펴보아야 하겠습니다.

3일 OPEC 증산 회의…기름 값 우려 재발할까


이번 주에도 시장과 연준에 결정에 영향을 미칠 만한 이벤트가 여러 개 예정돼 있습니다. 일단 실적발표는 S&P 500기업 가운데 148개 기업이 예정돼 있습니다. 실적 호조가 있을 경우 이에 따른 안도 랠리가 이어질 수 있을 지 주목됩니다.

FOMC가 끝나서 연준 인사들이 외부 발언을 재개 합니다. 이번 주에 3명의 연준 인사가 외부 발표를 합니다. 아마도 올해말 도달하게 될 금리 수준이 어느정도 인가에 대한 힌트를 시장은 얻고자 할 겁니다. 개인적으로는 고용과 산유국 회의죠 OPEC 회의가 다음주의 가장 중요한 이벤트로 꼽고 싶습니다.

날짜 별로 살펴보겠습니다.

<1일 월요일>

◇실적

액티비전 블리자드, 데번 에너지, 줌 인포, 램벗, 보네이도, 젠워스 파이낸셜, 에이비스 버짓, CF인더스트리즈, 모자이크, 사이먼 프로퍼티 그룹, 체크포인트 소프트웨어, 로우스, 제이콥스 엔지니어링, 래티스 세미컨덕터, 산미나, 다비타

◇발표 및 연설

오전 9:45(한국 시간 오후 10:45) S&P글로벌 미국 제조업 PMI (예상치 52.3)

오전 10:00(한국 시간 오후 11:00) ISM 제조업지수 (예상치 52.0)

오전 10:00(한국 시간 오후 11:00) 건설 지출 (예상치 0.2%, 전월대비)

<2일 화요일>



◇실적

캐터필라, BP, 듀폰, 길리어드 사이언스, 우버, 제트블루, 매러선 페트롤리엄, KKR, 몰슨 쿠어스 베버리지, 이튼, 오틀리, S&P글로벌, 일리노이 툴 워크, 커민스, 익스페디터스, 페라리, 시저스 엔터테인먼트, 스타벅스, 에어비엔비, 어드번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스, 페이팔, 오웬스-일리노이, 어슈런트, 옥시덴탈 페트롤리엄, 체사피크 에너지, 코테라 에너지, 메리어트

◇일정 및 연설

오전 10:00(한국 시간 오후 11:00)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은 총재 연설

오전 10:00(한국 시간 오후 11:00) 구인이직보고서(JOLT) 구인건수(예상치 110만건)

오후 6:45(한국 시간 3일 오전 7시 45분)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총재 연설

이날 발표할 스타벅스의 예상 실적은 매출 81억 달러, 주당 순이익 9.76 달러입니다. 최근 노숙자 문제 등 근로자의 안전 문제가 있는 매장을 추가 폐쇄하겠다고 하는 등 매장 축소에 직원들의 노조 창립 움직임, 경기에 따른 수요, 비용증가 등이 포인트로 꼽히고 있습니다.

최근 브렌트유 가격 추이. 3일로 예정된 OPEC 회의에서 증산 불발 우려에 최근 오른 뒤 가겨이 유지되고 있다. CNBC.


<3일 수요일>

◇실적

부킹 홀딩스, 이베이, CVS헬스, 모더나, 다나, 리제네론, 언더아머, 엑슬론, 로빈후드, 클로락스, MGM 리조트, 매러선 오일, 고대디, 뉴욕타임스, 아이로봇, APA, 밸보라인, 아이엠골드, 코파 홀딩스, 네이보스 인더스트리스, 킨드릴

◇일정 및 연설

오전 9:45(한국시간 오후 10:45) S&P 글로벌 미국 서비스업 PMI (예상치 47)

오전 10:00(한국시간 오후 11:00) ISM 서비스 지수 (예상치 53.7)

오전 10:00(한국시간 오후 11:00) 내구재 주문 (예상치 1.9%)

유럽 오후 1:00(한국 오후 10시) OPEC, OPEC+ 화상 회의

이날 한국시간 오후 10시에 OPEC과 OPEC+의 화상 회의가 열립니다. 핵심은 추가 증산을 하느냐, 하지 않느냐 인데요. 현재로서는 일부 관계자는 증산 논의가 있다, 일부 관계자는 현재 생산량이 그대로 갈 것이다. 엇갈린 보도가 나오고 있습니다.

연준의 경우 물가지수 중에서도 개인소비지출(PCE), 그중에서도 기름과 식료품 가격을 뺀 근원 PCE를 정책 기준으로 삼는데요, 물가 목표가 2%라는 표현도 근원 PCE 기준입니다. 6월 4.8%기 때문에 목표치 2배 입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기름값을 포함한 물가에 대해서도 연준히 상당히 신경쓰는 모습입니다. 파월 의장은 지난 주 기자회견에서 "소비자들은 근원 물가와 헤드라인 물가를 구분하지 않는다"라고 할 정도였습니다. 이는 돌려 말하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기름값과 식료품값이 현재 체감 물가의 핵심인데, 이를 고려하지 않은 통화 정책은 국민들의 공감을 얻을수 없다는 이야기겠지요.

만약 OPEC 회의에서 증산이 결정되지 않을 경우 국제 원유 가격은 상승 가능성이 큽니다. 이미 영국 북해산 브렌트유 선물가격은 OPEC+가 증산하지 않을 가능성을 우려해 요 며칠간 크게 올랐습니다. 현재 러시아가 유럽으로 가는 천연가스의 공급을 평시의 20% 수준으로 줄였기 때문에, 모자란 가스의 대체 수요가 원유로 넘어올 가능성까지 생각하면 이날 회의 결과가 전체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습니다. 향후 연준의 긴축 완화를 위해서도 사우디의 증산 결정이 중요합니다.

현재로서는 증산 여력이 있는 곳은 사실상 사우디와 UAE 정도 입니다. 증산 가능 폭이 크지 않더라도 증산이 결정된다면 연준과 바이든 행정부가 일단 한숨을 돌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4일 목요일>

◇실적

일라이 릴리, 암젠, 알리바바, 시그나, 에어 프로덕트, 켈로그, 드롭박스, 익스피디아, 볼 코퍼레이션, 벡톤 디킨슨, 엣지웰 퍼스널 케어, 아이언 마운틴, 시월드, 톰슨 로이터, 개닛, 코노코필립스, 인터콘티넨탈 익스테인지, 파라마운트 글로벌, 쉐이크쉑, 블록, 도어대시, 트립어드바이저, 리프트, 누스킨, 질로우, 버진 갤럭틱, 데이터도그, 듀크 에너지, 모토롤라 솔류션, AMC 엔터테인먼트, XPO 로직스, 카바나, 크록스

◇일정 및 연설

오전 8:30(한국시간 오후 9:30)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예상치 26만)

오전 8:30(한국시간 오후 9:30) 무역수지 (예상치 -800억 달러)

오후 12:00(한국시간 5일 새벽 01:00)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연설

<5일 금요일>

◇실적

알리안츠, 캐노피 그로스, 시네마크, AMC 네트웍스, 드레프트킹스, 웨스턴디지털, 리버티 브로드밴드, 플루오르, 고고

◇일정 및 연설

오전 8:30(한국시간 오후 9:30) 실업률 (예상치 3.6%)

고용보고서가 나오는 날입니다. 시장에서는 7월 비농업 고용자 수는 25만 명 증가해 전달 기록한 37만2천 명 증가보다 부진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일단 25만개의 일자리가 늘고, 실업률은 전월과 같은 3.6%가 나올 것이라는 게 시장 전망치 입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점진적인 증가 수준인 노동시장이 다소 완화될 신호가 나오고 있다"고 관측했습니다.

고용은 물가와 함께 연준의 핵심 목표입니다. 파월 연준 의장은 이번 FOMC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고용을 튼튼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물가를 낮춰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시장의 시각에서는 실업률이 더 낮아지는 경우가 오히려 연준의 긴축 행보를 부추길 수 있습니다. 이에 현재 시장의 예측 정도 대로 나오면 시장 흐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6일 토요일>

◇실적

버크셔 헤서웨이

이번 주는 결국 실적이 지난 주의 분위기를 이어가느냐, 고용이 예상외의 변동이 있을 것이냐, OPEC의 증산 실패가 유가 상승 우려를 불러 일으킬 것이냐가 시장의 심리를 움직일 것 같습니다.

#[글로벌주간뉴스]는 서울경제신문의 자산 유튜브 채널 ‘어썸머니’에서 매주 월요일 아침 6시55분 부터 라이브로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 기자 페이지를 구독하시면 미국의 거시 경제와 월가, 암호화폐 등 자산 시장 관련 소식을 더욱 쉽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