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국내 금융투자업체들의 해외 시장 진출을 두고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독려했다. 이에 대해 업계는 자본시장 인프라(기반) 구축, 낡은 규제 타파, 자기자본 확충, 투자은행(IB) 역량 확보 등부터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 부위원장은 14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금융투자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향’ 세미나에 참석해 “이번 정부는 ‘한국 금융투자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더 이상 공허한 구호로만 남겨놓지 않을 생각”이라며 업체들의 해외 진출을 재촉했다. 이 세미나는 금융위가 지난 13일 ‘금융산업 글로벌화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연 뒤 후속으로 개최한 첫 세미나다. 금융위는 4월 핀테크·보험, 5월 금융지주·여신, 6월 은행에 앞서 금융투자업계와의 만남을 가장 먼저 추진했다.
김 부위원장은 “절대적인 자본 규모나 업력에서 글로벌 IB들에 비해 부족한 우리 금융투자회사들이 세계 무대의 주역이 된다는 것에 회의적인 시각도 여전히 많은 게 사실”이라면서도 “명확한 비전과 실효성 있는 추진 전략이 결합된다면 해내지 못할 이유도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 수십 년간 공고하게 유지됐던 전통 금융권 중심의 글로벌 금융 시장 판도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며 “그 중심에는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블록체인 등 새로운 기술과 빅테크, 핀테크 등 다양한 참여자, 취향, 투자자들이 있다”고 덧붙였다.
김 부위원장은 무엇보다 소프트 파워와 ICT 역량을 우리 금융투자업계의 최대 강점으로 꼽았다. 김 부위원장은 “영미계 금융 회사가 수백 년 간 레거시(유산)를 쌓아온 전통적인 자본시장 분야가 아니라 새 운동장에서 새 경쟁자들과 무한 경쟁을 해야 하는 시기가 도래하고 있다”며 “우리 금융투자업만이 가질 수 있는 핵심 경쟁력을 갖추고 해외 시장과 투자자 특성에 맞는 진출 전략을 결합해 꾸준히 추진하면 충분히 승산이 있는 도전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은 이를 두고 △10년 내 아시아 상위 3위권 수준의 금융투자회사 배출 △연금·자산관리 활성화를 통한 국민 노후준비 지원 △공모펀드 경쟁력 강화 및 사모펀드 성장 지원 △대체거래소(ATS) 인가를 비롯한 자본시장의 질적 향상 △투자자 보호 강화 등을 추진 목표로 제시하면서 “국내 자본시장의 외형적 성장에도 예금 중심의 가계 금융자산 구조, 글로벌 경쟁력 부족, 낡은 자본시장 인프라와 규제 등 한계 요인이 여전하다”고 호소했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증권회사들은 과거 10년간 양적 성장을 이뤘으나 중소기업 여신 등 모험자본 공급은 부족하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채무보증 영업에 집중하는 등 질적 성과는 못 미쳤다”며 외국환·법인지급결제 등으로 업무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준서 동국대 교수는 “자산운용사의 대형화·국제화, 일반사모펀드와 기관전용 사모펀드의 통합, 투자 신탁형에서 투자회사형으로 전환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