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 간 관계 개선 필요성을 둘러싼 여론이 팽팽하다는 조사 결과가 23일 나왔다. 중국과의 경제·문화 협력 필요성에는 동의하면서도 더욱 신중한 관계 설정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경제신문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21~22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한중 관계에 대해 물은 결과 ‘현재보다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은 절반 수준인 51.3%로 집계됐다. 이에 상반되는 의견도 총 45.3%에 달했다. 이들 의견은 ‘현재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30.9%)’와 ‘더 거리를 둬야 한다(14.4%)’는 주장을 담고 있다. ‘모른다’ 등 기타 의견은 3.4%였다.
MZ세대에 해당하는 18~29세 청년층의 한중 관계 개선 지지율은 29.3%에 불과해 모든 연령대 중에서도 가장 낮았다. 이어서 30대 연령층에서는 절반에 못 미치는 41.3%가 한중 관계 개선을 지지했다. 40대 이상 중장년층에서는 한중 관계를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과반이었다. 특히 50대(68.1%), 60대(57.9%)에서 ‘개선해야 한다’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한중 관계에 대한 여론이 엇갈린 데는 최근 심화된 반중 정서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비밀경찰서 논란, 미세먼지 등 중국발 악재가 겹치며 반중 감정을 자극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올 6월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의 ‘베팅’ 발언 논란으로 중국의 권위주의 체제에 대한 반감이 더해지며 국내에서는 반중 정서가 정점을 찍었다. 청년층의 경우 2017년 사드 배치 이후 오랜 기간 이어진 한한령으로 문화적 교류가 끊기면서 중국 자체에 대한 관심이 크게 줄었다는 평가도 나온다.
중국의 경제 둔화와 미중 패권 경쟁 심화 속 한중 관계 설정에 신중해야 한다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조양현 국립외교원 교수는 이날 ‘한미일정상회의 전략적 함의’ 공개 회의에 참석해 “한중 관계가 바뀌는 과도기로 접어들 것”이라며 “한미일 공조 강화로 중국이 (한중 관계의 추가 경색을 피하기 위해) 우리를 배려할 가능성이 커졌다. 중국 내 한국의 전략적 가치 증대가 되는 것 아닌가 생각해본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