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는 10개의 주력 산업(TOP SECTOR) 분야에서 정부와 기업이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자금 조달을 맡을 정도로 기업 친화적 정책을 펴고 있습니다. 국제 공용어인 영어가 유창한 데다 특정 국가·민족에 대한 차별 없이 다양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네덜란드가 유럽연합(EU)의 허브 국가로 발돋움한 배경입니다.”
네덜란드는 경상도 수준의 면적에 인구 1770만 명으로 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 등 유럽 주요국 대비 작은 나라다. 하지만 유럽에서 사업을 하려면 네덜란드 로테르담 항구를 거치는 것은 필수다. 지난해 기준 로테르담 항구의 물동량은 2위인 벨기에 앤트워프·브뤼헤 항구보다도 7% 많은 1위였다. 고상영 KOTRA 암스테르담 무역관장은 “우리나라에서도 삼성·LG·현대차 등 대기업뿐 아니라 셀트리온·마크로젠 등 생명과학 기업, 카카오게임즈 등 정보기술(IT) 기업까지 130여 개의 기업이 네덜란드에 진출해 있다”며 “네덜란드는 유럽의 물류 거점인 로테르담항과 스히폴공항을 보유했을 뿐 아니라 환경·사회·지배구조(ESG)와 청정에너지 전환, 대체식품 개발 등 글로벌 이슈를 선점해 전 세계 기업들을 유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네덜란드 정부는 미래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는 10대 분야를 주력 산업으로 선정해 집중 육성하고 있다. 네덜란드가 비교 우위를 갖고 있는 첨단기술, 물류, 농식품, 에너지, 창의 산업, 화학, 원예, 물, 생명과학, 정보통신기술(ICT)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정부는 산업 간 기술 융합을 주도하고 혁신을 창출하기 위해 기업·대학·연구기관의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
여기에 네덜란드는 EU 최초로 외국 기업 대상 부가가치세 유예 제도를 도입하는 등 기업 친화적 정책을 펴고 있다. 네덜란드로 상품을 수출하려면 세관에 수출을 신고할 때마다 부가세를 납부해야 하지만 유예 제도를 이용하면 분기 말 또는 연말에 최종 정산할 때만 납부하면 된다. 세금 공제를 받는 일부 기업은 부가세를 납부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헌법 1조에 ‘모든 형태의 차별을 금지한다’고 규정할 정도로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사회 분위기도 네덜란드의 장점이다. 고 관장은 “국가·민족에 따른 구별 또는 차별을 체감할 수 없는 사회적 분위기에 네덜란드 정부의 효과적인 산업 정책이 더해져 수많은 글로벌 기업을 끌어들이고 있다”며 “인건비·공과금 등 높은 고정비용에도 불구하고 네덜란드가 EU 역내 교역 거점으로서 입지를 유지하는 한 주목하고 활용할 필요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