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노후화에 대한 우려가 이어졌던 산업재해 근로자 치료 병원이 의사 구인난도 심각한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산재 병원은 다친 근로자가 이전 생활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는 필수적인 의료 시설이다.
20일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이 근로복지공단 소속 병원 10곳과 의원 3곳에 대해 운영 실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 10개 병원의 의사 충원율은 88%에 그쳤다. 작년 평균 근속 기간도 3년 8개월에 불과했다. 평균 이직률은 18.5%로 높은 수준이다. 기간제 의사 비율도 26.3%에 달했다. 지역 불균형 현상도 여전하다. 17개 시·도 중 11곳만 이 병원들이 자리했다.
의사 이직률은 의사 충원율과 비례한다. 의사 수가 적어 몰려든 환자를 치료하는 어려움을 못 견딘 의사가 이직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다. 실제로 의사 충원율 66.6%로 가장 낮았던 정선병원은 평균 이직률도 50%로 가장 높았다.
우려는 산재 병원 시설이 낙후하거나 의료장비가 노후화해 지원 대책이 시급한 병원이 많다는 점이다. 13개 병·의원 중 2010년 이후 지어진 곳은 4곳뿐이다. 태백병원과 창원병원은 지어진 지 40년도 더 됐다. 강은미 정의당 의원이 2021년 국정감사에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전체 병원 장비(3000만원 이상) 가운데 42.3%는 연수를 초과한 상태였다.
노동계에서는 산재 병원과 이 곳을 운영하는 복지공단의 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를 이어왔다. 산재 병원은 치료와 재활이 동시에 이뤄진다. 복지공단은 산재 환자가 치료를 받는 동안 환자와 사측의 어려움이 없도록 해당 사업장의 대체 인력을 지원한다. 원직장에 복귀하지 못한 환자도 직업 훈련을 받을 수 있다. 그 결과 산재병원 환자의 직업복귀율은 작년 69.2%로 통계 이래 최고다. 작년 이들 병원에서 치료받은 산재 환자는 62만여명이다. 일반 환자까지 합친 총 환자 수는 120만여명이다.
김 의원은 “산재 병원은 지방의 열악한 의료 인프라와 의료서비스 불균형을 해소하고 있다”며 “의료 인프라가 열악한 지역부터 산재 병원을 지어 산재 환자의 치료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