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적선사인 HMM 매각 작업이 진통 끝에 무산됐다. 매각 측이 재무적투자자(FI)를 투기 자본으로 보는 인식이 이번 협상 과정에서 나타나면서 향후 재매각도 순탄치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산업은행·해양진흥공사와 하림·JKL파트너스와의 매각 협상은 지난 7일 최종 결렬돼, HMM은 당분간 채권단 관리체제로 유지된다.
HMM 매각이 다시 원점으로 돌아선 가장 큰 요인은 표면적으로는 JKL파트너스다. 하림측은 ‘5년 간 주식 보유 조건’에 대해 일정 기간이 지나면 투자금을 회수해야 하는 FI의 특성상 JKL파트너스는 예외로 해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매각 측은 이를 거부했고, 3년으로 줄이는 안과 하림그룹이 독자적으로 추진하는 안도 거론됐으나 결국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매각측 관계자는 “투기 자본들이 대부분 단기 차익을 실현하고 빠지는 부분이 있어 HMM의 보유 현금에 대해 해운업에 재투자하면서 다른 용도로 쓰이는 걸 방지하기 위한 견제 장치가 필요했다”며 “해운업 중장기 발전을 위해서는 (하림안이) 그렇게 바람직하지는 않다”고 말했다.
다만 내막을 보면 실제적으로는 정부의 ‘경영권 개입’을 놓고 갈등이 컸다. 산은과 해진공은 중요 경영 사항에 대해 사전 협의나 동의를 받아야 한다며 일정 기간 경영권 관여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림 측은 잔여 영구채 3년간 주식 전환 유예와 배당 제한 등의 제안사항들을 다 거둬들였는데도 경영 간섭까지 받는 것에 대해 마지막에는 사실상 자포자기 했다는 후문이다.
하림그룹 측은 "최종적으로 거래 협상이 무산된 데 대해 매우 안타깝고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면서 "그동안 은행과 공기업으로 구성된 매도인 간 입장 차이가 있어 협상이 쉽지 않았고, 실질적인 경영권을 담보해 주지 않고 최대 주주 지위만 갖도록 하는 거래는 어떤 민간 기업도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해운동맹이 재편되는 상황에서 업황은 불확실한데 정부의 경영권 제약이 있으면 신속한 의사결정과 유연성이 떨어지는 부분을 우려했다”고 덧붙였다.
매각측 내에서도 JKL파트너스 예외 기간과 협상을 2차 연장할 것이냐 결렬로 끝내냐 등을 놓고 산은과 해진공의 입장이 달랐다. 금융 논리에 따라 HMM 매각이 필요한 산은과 국적선사에 대해 산업 측면에서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마련하겠다는 해진공간 바라보는 시각 차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매각측은 “사전에 조율한 결과로 협상을 했다”며 “2차 연장을 하지 않은 것은 조건 자체가 서로 간에 괴리가 커서 협상에 실익이 없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투자은행(IB) 업계에서는 매각측이 계속해서 경영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한다면 HMM을 인수하려는 기업이 나오겠냐는 반응이다. 또 단기 차익 실현이 아닌, 엑시트에 대해서는 유연하게 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있다.
재매각 절차는 내년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해운업황이 불확실한 점도 단기간에 재매각에 나서기 어렵다고 보는 이유다. 특히 매각측은 올해와 내년 콜옵션(조기상환청구권) 행사 시점이 도래하는 1조6800억 원 규모의 영구채를 보유하고 있다. 매각측의 지분율이 57.9%에서 73.8%까지 상승하게 돼 6조4000억 원 규모의 딜이 8조 원이 넘을 수 있는 셈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