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흡연구역 만들면 '민원' 들어오는 이유[지구용]

서울시 25개구 중 흡연구역 신청 3곳뿐

마구 버린 담배, 미세플라스틱으로 돌아와

/이미지투데이




오늘의 주제는 담배 꽁초입니다. 지구용사님들이라면 아시겠지만, 담배의 필터 부분은 플라스틱입니다. 그런데 정말 많은 흡연자들이 이 플라스틱 덩어리를 길에, 심지어 빗물받이에 버립니다. 하수도와 강과 바다를 거쳐 다시 우리 입 속에 미세플라스틱을 뿌리는 것과 같은데 말입니다.

이 문제를 꾸준히 지적해 온 쓰줍인(지난 레터 읽기)이 얼마 전 토론회를 열어서 짐니 객원에디터가 다녀왔습니다. 꽁초 무단 투기를 당장 완전히 없앨 수 없는 현실에서 실질적인 대안들이 제시돼서 반가웠습니다.

◆담배 꽁초가 문제인 이유


담배 꽁초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라는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집니다. 아무데나 버리면 미세플라스틱으로 분해되면서 자연으로, 심지어 우리의 입 속으로 되돌아옵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매일 전 인류가 150억 개비 정도를 피우는데 이 중 66.6%인 100억개는 아무데나 마구 버려진다고 합니다. 한국의 경우 꽁초 무단 투기가 매일 1억1455만 개비로 추정됩니다.


흡연구역 찾기 힘든 이유


문제를 해결하려면 일단 현실을 분석해야겠죠. 아예 흡연 금지를 할 수는 없으니, 담배 꽁초를 제대로 쓰레기통에 버릴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그러면 정해진 흡연 구역과 꽁초 수거함을 늘리면 될 것 같지만 이 역시 만만치 않다고 합니다.

지난 12일 서울특별시의회에서 쓰줍인, 흡인연이 서울특별시의회 황철규, 허훈 의원실과 함께 개최한 ‘담배연기 ? 꽁초 쓰레기 ? 화재 문제 해결을 위한 흡연구역 만들기 정책토론회’. /사진=쓰줍인


토론회에 참석한 정기호 서울시 스마트정책팀장님은 "흡연 부스를 설치해도 철거해 달라는 민원에 시달린다"고 토로하셨습니다. 근처 상인, 거주민들이 싫어하는 마음도 이해는 갑니다. 이 때문에 지난 11월에 서울시 25개 구를 대상으로 흡연구역 수요조사를 했지만 신청한 구는 3곳뿐이었다고 합니다. 흡연구역이 생기면 관리도 해야 하고, 없애달란 민원에 시달리기 때문에 신청조차 않는 겁니다.

그 결과 흡연구역을 찾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박상륜 흡연자인권연대 대표님은 "서울시 전체 금연구역이 30만 곳인데 흡연구역은 103곳에 불과, 1곳당 이용자 수가 1만8389명에 달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담배 꽁초 수거함의 위치와 디자인도 문제입니다. 쓰줍인이 지난 9월 서울시 서초구에서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담배 꽁초 수거함 44%는 금연 구역 가까이 설치돼 있어 흡연자·비흡연자의 갈등을 조장할 가능성이 있었다”고 합니다. 또 수거함 형태도 항아리형, 원통형, 상자형 등 제각각이라 찾기 어렵기도 하고요.



당장 예산부터 확보해야


너무 흡연자 편을 든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흡연자들의 의식이 개선되려면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릴 겁니다. 당장 현실적인 방안을 찾자면 결국 민원이 적을 만한 곳에 흡연구역을 늘리고, 꽁초 수거함 디자인을 통일해서 쓰기 쉽게 하고, 흡연구역 관리도 철저히 하는 게 정답인 것 같습니다. 그 과정에서 금연구역에서의 흡연 단속을 늘려나가는 것은 물론입니다. 결과적으로 흡연자, 비흡연자 모두 만족할 수 있도록 말입니다.

박정음 서울환경연합 자원순환팀장님은 예산부터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국내에서 담배 한 갑당 24.4원인 폐기물 부담금이 연간 864억원인데, 이걸 지금처럼 환경부 환경개선특별회계로 편입하지 말고 지방자치단체에 바로 투입해서 흡연구역, 꽁초 수거함, 미세 플라스틱 안내 의무 시행 등 개선에 써야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의식 있는 흡연자들을 위해서 이런 대안도 있습니다. 담배 꽁초를 버릴 곳이 마땅치 않을 때, 꽁초에서 불이나 냄새가 나지 않도록 밀봉할 수 있는 특수 용지인 '시가랩(인스타그램)'입니다. 담뱃갑에 잘 넣어뒀다 나중에 쓰레기통에 버리자는 취지입니다. 주식회사 어다인에서 무료 배포하면서 캠페인을 해 왔다고 합니다.

출처=시가랩 캠페인


혹시 주변 흡연자가 담배 꽁초를 바닥에. 빗물받이에 버리려고 하면 조금만 참았다가 쓰레기통에 버려달라고 설득해 주세요. 화내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혹시나 이 글을 읽는 흡연자 분들이 계시다면, 꽁초가 미세플라스틱으로 분해돼 가족들의 입으로 돌아간다는 사실, 특히 빗물받이에 버리면 홍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는 사실을 꼭 명심해 주시길 바랍니다.

지구용 레터 구독하기




이 기사는 환경을 생각하는 뉴스레터 ‘지구용’에 게재돼 있습니다. 쉽지만 확실한 변화를 만드는 지구 사랑법을 전해드려요.

제로웨이스트·동물권·플라스틱프리·비건·기후변화 등 다양한 소식을 메일로 전해드릴게요.

구독 링크와 아카이브는→https://url.kr/use4us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