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김 모 씨는 자녀들이 독립해 분가하면서 빌라에서 혼자 살고 있다. 마땅한 수입이 없는 그는 지난겨울 난방비 폭탄을 맞을까 두려워 내복을 겹쳐 입고 버선까지 신고 지냈다. 그런 김 씨를 한국에너지공단이 도왔다. 에너지 복지 수혜 계층이어서 에너지 바우처가 있었음에도 불용액이 많다는 점을 공단 측이 파악했기 때문이다. 김 씨는 “(전담 에너지 컨설턴트 역할을 해준) 에너지공단 덕분에 지난겨울을 따뜻하게 보낼 수 있었고 온수도 마음껏 쓸 수 있었다”며 고마워했다.
에너지공단이 복지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 발로 뛰고 있다. 서민들이 에너지 바우처와 취약 계층 난방용 등유 및 액화석유가스(LPG) 구입비 지원 사업을 몰라 놓치는 일이 없도록 신청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집집마다 들러 사업비가 충전된 선불카드를 전달하고 있다. 이 덕분에 지난해 기준 에너지 바우처 발급률이 96.8%에 달했다. 2~3년 전만 해도 발급률은 93%대였다. 에너지공단은 발급률 100%를 목표로 뛰겠다는 방침이다.
2015년 도입된 에너지 바우처는 더위와 추위에 민감한 에너지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동·하절기 냉난방을 위한 에너지 구입 비용(전기·도시가스·지역난방·연탄 등)을 이용권(바우처)으로 지원하는 제도다. 기존 노인·영유아·장애인에 임산부, 한부모·소년소녀가정 등까지 지원 대상을 크게 확대하면서 지난해 기준 126만 4569가구가 에너지 바우처를 지급받았다. 제도 도입 10년을 앞두고 올해부터는 사용 기간을 한 달 연장한다. 에너지공단은 에너지 비용 상승에 맞춰 지원 단가도 현실화하고 있다. 2015년 도입 당시 평균 지원 단가는 9만 1000원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36만 7000원에 이른다. 2022년 1월 난방비 폭탄 사태를 계기로 한 번에 배 이상 올렸고 올해도 약 5.8% 인상할 계획이다.
에너지공단은 향후 에너지 바우처 사업의 성패가 미사용 가구를 줄이는 데 달렸다고 보고 있다. 단순히 에너지 바우처 발급을 늘리는 데 그치는 게 아니라 실제 에너지 비용 부담을 덜어줘야 정책 목표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에너지공단이 방문 실태 조사를 벌인 결과 에너지 바우처 미사용 가구의 대부분은 노인(2023년 기준 42.8%)과 장애인(31.7%) 1인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현장 지원을 통한 실질적인 에너지 바우처 사용 및 편의성 도모를 위해 ‘찾아가는 에너지 복지 서비스’의 일환으로 에너지 바우처 돌봄 서비스를 올해 1~4월 시범 운영하고 있다. 울산·광주시 내 최근 3년간 에너지 바우처를 미사용한 102가구(울산 53가구, 광주 49가구)를 선정해 지역 복지 단체인 에너지사랑과 함께 월 1회 이상 주기적으로 관리해나가는 방식이다.
거동이 불편한 에너지 취약 계층을 위한 우편 서비스도 호응을 얻고 있다. 에너지공단은 지난달 부산지방우정청과 손잡고 집배원이 등유·LPG 구입비 이용권을 배달하면서 에너지 복지 사업과 이용권 사용법을 함께 안내하도록 독려하고 있다. 이상훈 에너지공단 이사장은 “에너지 이용권을 수령해 사용하시는 데 불편한 점이나 어려움이 없도록 더욱 촘촘하게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