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주도하는 인공지능(AI) 기술에 잠식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지역적 문화·가치관에 기반한 ‘소버린 AI(AI 주권)’ 구축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전문가 제언이 나왔다. 국내에 특화한 AI 기술 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업 경쟁력을 확대해나가야 한다는 설명이다.
서울경제신문은 23일 국내 AI 산업의 대표 주자 5인에게 미래 생존 전략을 물었다. 서면으로 진행된 인터뷰에서 각 전문가들은 지역 문화 및 산업에 특화한 우위 기술을 조기에 확보하고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섣불리 넘보기 어렵도록 진입장벽을 구축하는 게 급선무라고 입을 모았다. 민간의 이 같은 노력을 뒷받침할 정부의 전폭적이고 집중적인 지원책 마련도 언급됐다. 이번 인터뷰에는 김기정 콕스웨이브 대표, 김유철 LG(003550) AI연구원 전략부문장, 이은주 한국IBM 사장, 최홍준 업스테이지 부사장,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 센터장 등 국내 AI 산업의 최전선에서 활약하고 있는 5인이 참여했다.
◇“독립적 기술 역량 필수…도메인 특화 AI 만들어야”=전문가들은 주도권을 선점한 미국 빅테크 기업들과 AI 원천기술 경쟁을 벌이기보다는 AI 기술 활용 분야를 넓혀 새로운 사업성을 발굴하는 방식으로 차별화를 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사장은 “몇몇 빅테크가 선도하는 AI 분야 기술들은 구축·운영에 엄청난 자본·인력·인프라가 요구된다”며 “국내 기업들이 동일한 분야에서 독자적으로 경쟁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효율성과 혁신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국내 AI 기업은 글로벌 빅테크와 비교해 자원과 인프라 측면에서 상당한 격차가 있다”며 “원천기술 경쟁보다는 이를 활용한 응용 기술과 파생되는 서비스에 집중해 고객의 신뢰를 얻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이와 관련해 ‘소버린 AI 구축’이 중요한 지향점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소버린 AI는 특정 빅테크에 종속되지 않고 자국의 문화·언어 등에 특화한 AI 기술·전략을 의미한다. 하 센터장은 “실리콘밸리 빅테크가 만든 생성형 AI는 철저하게 미국 가치관에 편향된 AI라는 특성이 있다”며 “소버린 AI를 확보한다는 것은 좁게는 우리나라의 역사·제도·가치관을 제대로 유지하기 위함이고 넓게는 AI 문화 다양성 확보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관련 기술·인재가 부족한 국가들과 ‘글로벌 소버린 AI 연대’를 구축해 이끄는 식으로 새로운 기회를 만들 수 있다”고도 조언했다.
최 부사장은 “우리 언어와 데이터로 만들어지지 않은 빅테크 AI로는 데이터 주권을 확보할 수 없다”며 “기술적 자립과 이를 통한 AI 기술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창출해야 한다. 빅테크와 달리 데이터 프라이버시가 중요한 금융·보험·법률·의료 분야의 맞춤형 AI 모델을 제공하면 좋을 것”이라고 전했다. 김 부문장은 “도메인(지역) 특화 영역에서는 쉽게 얻을 수 없는 데이터와 업력을 기반으로 한 전문 기능이 요구된다”며 “산업별 도메인 특화 영역의 우수 사례를 만들고 진입장벽을 구축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투자·인재 확보·세제 혜택 필요=민간 산업 영역이 주도하는 AI 분야일수록 기업 보조금 확대 등 정부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고도 입을 모았다. 이 사장은 “정부는 민간 기업의 연구개발(R&D)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세제 혜택과 연구비 지원, 공동 연구 프로젝트 등을 확대해야 한다”며 “AI 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대규모 데이터의 수집과 활용이 중요한 만큼 정부는 공공 데이터 개방을 확대하고 민간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법적·기술적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문장은 “국내 AI 기업은 투자 측면에서 글로벌 빅테크와 차이가 상당하기 때문에 현재 분산돼 있는 각종 AI 인프라 지원 정책을 한 곳으로 집중해야 한다”면서 “미국이나 일본처럼 AI 정책을 조율하는 협의회가 필요하다”고 했다. 하 센터장은 “정부가 대규모로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구입해 구매력을 강화하고 GPU 클러스터를 구축해 민간 전문기업에 위탁 운영하도록 해야 한다”면서 “AI 서비스에 특화된 저전력·저비용 전용 AI 반도체 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꾸준한 투자가 필요하고 AI 산업 진흥을 위한 법안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AI 기술 개발에 필요한 글로벌 인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가 관련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 사장은 “AI 산업의 핵심은 인재”라며 “정부가 장기적인 인재양성 계획을 수립하고 현업 종사자들을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해외 AI 연구인력이 국내 AI 기업에서 더 많이 일할 수 있도록 스톡옵션을 제공하거나 스톡옵션을 실현할 때 세제 혜택을 지원해야 한다”며 “‘AI 바우처’와 같은 정부 지원 사업도 활성화돼야 한다”고 요청했다. 최 부사장은 “국내 AI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과 해외 인재를 국내에 유입하기 위한 다양한 정부 사업이 필요하다”고 지원책 마련을 촉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