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급증한 가운데, 지난 3월 40대의 매수세가 30대를 앞질렀다.
4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거래현황에 따르면 지난 3월 매매 신고된 서울 아파트 9349건 가운데 40대가 전체의 33.8%(3158건)를 매수해 연령대별 1위를 차지했다. 30대는 32.5%(3034건)로 그 뒤를 이었다.
서울 아파트 연령대별 매수 비중은 지난 2019년 관련 통계가 공개된 이후 지난해까지 30대의 매수세가 두드러졌다.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는 2019년부터 최근까지 줄곧 30대의 매수 비중이 높았다. 2019년에는 30대가 28.8%, 40대는 28.7%로 비슷했지만, 2020년에는 30대(33.5%)가 40대(27.5%)를 크게 앞섰다. 아파트 가격이 급등했던 2021년에는 ‘영끌’로 대표되는 30대의 매수 비중이 36.4%에 달해 40대(26.4%)와의 격차가 10%포인트까지 벌어졌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금리 부담과 2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행, 시중은행의 대출 중단 등으로 자금력이 부족한 30대의 매수세가 주춤해지면서 40대(31.7%)의 매수 비중이 회복했다. 실제로 2023년에는 30대(31.9%)와 40대(31.7%)의 매수 비중이 거의 같았다.
올해 들어서도 두 연령대의 매수세는 팽팽하게 맞섰다. 지난 1~2월에는 30대의 비중이 다소 높았지만, 3월 들어 40대가 다시 앞서기 시작했다.
이 같은 변화는 강남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맞물려 고가 아파트 거래가 활발해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강남구와 서초구에서 40대의 매수 비중은 각각 42.8%, 44.5%로, 30대(19.5%, 21.1%)를 크게 앞질렀다. 송파구(40대 35.6%, 30대 26.9%), 강동구(40대 35.3%, 30대 25.5%)도 마찬가지다.
‘마용성’으로 불리는 마포·용산·성동구 등 인기 지역에서도 40대의 매수세가 두드러졌다. 정비사업 호재 등으로 아파트값이 강세인 용산구와 양천구는 40대(각 38.1%, 43.8%)와 30대(25.5%, 30.4%)의 격차가 10%포인트 이상 벌어졌다.
이에 비해 지난달 전국 기준 매수 연령은 30대가 27.3%로 40대(26.3%)보다 소폭 앞섰다.
전국 아파트는 2019년 이후 줄곧 40대의 매수 비중이 높았으나 2023년부터 연평균 기준으로 30대가 40대를 미세하게 앞지르기 시작해 올해 들어서도 30대의 강세가 계속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