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가 보수 후보 단일화 데드라인을 앞두고 별다른 진척 없이 정면 충돌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 후보는 6일 관훈토론회에서 “단일화가 실패할 것이라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며 “단일화 실패는 국민에 대한 큰 배신이고 배반이 될 것”이라고 김 후보를 비판했다. 후보 등록 마감일인 11일을 넘기면 한 후보로 단일화가 이뤄져도 ‘기호 2번’과 국민의힘 선거 자금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조속한 단일화를 압박하는 것이다. 반면 김 후보는 이날 당 지도부를 겨냥해 “당의 공식 대선 후보로 인정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정당한 대선 후보인 저를 강제로 끌어내리려는 시도”라고 쏘아붙였다. 조기 단일화 압박에 반발해 후보 일정 중단도 선언했다. 전날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김 후보와 당 지도부, 소속 의원들은 단일화 시기와 방식을 놓고 설전을 벌였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신의(단일화 약속)를 무너뜨린다면 당원과 국민을 배신하는 것”이라고 말한 뒤 7일 전체 당원을 대상으로 ‘후보 단일화 찬반’ 여론조사를 실시할 것이라며 김 후보를 압박했다. 이런 가운데 김 후보는 7일 저녁 6시 한 후보를 만나 후보 단일화 문제를 논의한다고 밝혀 회동 결과가 주목된다. 공식 절차를 통해 대선 후보를 선출해놓고 곧바로 외부 인사와 단일화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정당 민주주의 원칙과 상식에 어긋나는 처사다. 김 후보도 경선 과정에서 한 후보와의 즉각적인 단일화를 약속하더니 말을 바꿨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김 후보 또는 한 후보로 단일화를 하더라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에게 밀린다는 여론조사 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이러니 단일화 이전투구에 대해 “대선은 포기하고 차기 당권에만 눈독을 들인다”는 비아냥이 나오는 것이다.
김 후보와 한 후보는 ‘반(反)이재명 빅텐트’라는 정치 공학적 접근법과 권력 싸움을 접고 민주당은 물론 윤석열 정부와도 차별화하는 보수의 가치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 두 후보가 대선 출마의 정당성과 명분을 얻으려면 윤석열 정부의 국정 운영 실패와 계엄 사태에 대해 진정한 사과부터 해야 한다. 이를 토대로 저성장과 안보 위협 등의 복합위기 극복과 국민 통합을 위한 비전 및 구체적 정책을 내놓아야 한다. 핵심 지지층을 의식한 ‘이재명 때리기’가 아닌 실질적인 수권 능력을 보여줘야 중도층으로 외연을 확장하고 정권 재창출을 시도할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