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약자와 동행하는 교통정책 실현’을 위해 전국에서 유일하게 장애인콜택시 법정기준 대비 150% 확보에 도전한다고 7일 밝혔다. 2025년까지 총 854대의 장애인콜택시를 운영할 계획으로 이는 중증보행장애인 150명당 1대를 운영해야 하는 법정기준(569대)을 초과하는 수준이다.
주목할 점은 휠체어 장애인뿐만 아니라 비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바우처택시 활성화까지 포함한다는 부분이다. 이를 통해 바우처 택시 이용은 2023년 일평균 1549건에서 25년 3월 3487건으로 급증하며 장애인콜택시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장애인콜택시 평균 대기시간은 2023년 47분이었으나 올해 3월 32.3분으로 31.3%가량 감소했다.
서울시는 중증보행장애인의 이동권 강화를 위해 매년 콜택시를 증차해 왔다. 2023년 692대에서 2024년 782대로 확대했으며, 2025년에는 72대를 추가해 854대로 늘릴 예정이다.
정책 효과로 장애인 이동 범위 확대도 두드러진다. 특히 시외 운행이 2023년 9만 7천 건에서 2024년 10만 3천 건으로 5.8% 늘었다. 서울과 인접한 12개 시까지 이동이 가능해 장애인들의 활동 범위가 넓어졌다.
서울시는 정시성 향상을 위해 전일접수제(예약제)도 확대했다. 등교·출근 시간대에 240대였던 예약 차량을 수요가 많은 계절에는 300대로 늘리고, 심야 시간대(1시~5시)에도 시간별 3명씩 예약제로 운영한다. 또한 서비스 만족도 조사를 상시화해 이용자의 요구사항을 수시로 수렴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서울시는 교통약자를 위한 환경 조성을 위해 장애인 이동수단의 양적 확대와 질적 개선을 지속하고 있다”며 “시민 이동 지원을 넘어 포용적인 사회 문화 조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관련 정책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