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의 ‘지역사랑 철도여행’ 이용객이 출시 8개월 만에 8만여 명을 돌파했다. 지역 관광과 연계한 이 상품은 인구감소에 따른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는 데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평가다.
코레일은 전국 33개 인구감소지역에 345개 관광 상품을 운영해 225억 원의 경제효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된다고 7일 밝혔다. 지역사랑 철도 여행상품은 지난해 7월 코레일과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한국관광공사, 한국농어촌공사 및 33개 지자체 등 총 40개 기관이 협의해 출시한 지역여행 프로그램이다. 열차운임 50% 할인과 지역 관광명소 체험할인 혜택을 결합해 국내외 여행객으로부터 큰 인기를 끈 것으로 평가된다.
해당 상품은 △고객이 직접 여행지를 선택하여 관광지를 자유롭게 찾아가는 ‘자유여행상품’ △전문여행사 가이드가 동행하는 ‘패키지상품’ △코레일의 ‘관광전용열차’ 등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다. ‘자유여행상품’은 여행객이 원하는 기차 여행지를 ‘인구감소지역’ 가운데 선택하면 된다. 열차 운임과 관광지 입장료 할인, 지역 특산 농산품 할인 교통비 지원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패키지 상품’은 대표 관광지를 지자체와 전문 여행사가 지정한 프로그램대로 운영된다. ‘관광전용열차’는 △강릉역에서 분천역 동화 속 산타마을로 떠나는 ‘동해산타열차’ △태백 절경을 협곡 사이에서 달리며 감상하는 ‘백두대간협곡열차’ △서해 생태보고를 체험하는 ‘서해금빛열차’ △전통시장과 자연의 협주 ‘정선아리랑열차’ △경전선의 향수를 간직한 ‘남도해양열차’ 등이 있다.
코레일은 앞으로 지역 축제와 연계한 모바일용 ‘기차여행 캘린더’도 서비스할 계획이다. 전국 지자체에서 엄선한 계절별 축제 정보와 연계 기차여행 상품 등을 안내받을 수 있다.
한편, 코레일이 지난 3월 새롭게 문을 연 서울역 ‘짐보관·배송’ 서비스도 인기를 끌고 있다. 짐보관·배송은 역에 짐을 보관하거나 원하는 목적지까지 배송해주는 서비스다. 서울역에 매장을 오픈한 이후 한 달간 서비스 이용 건수는 8000여 건에 달한다. 하루 평균 260건으로, 짧은 기간 안에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코레일은 서울역을 비롯한 전국 13개 주요 KTX역에서 짐보관·배송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